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818

2014.11.06 안랩, 2014년 1~3분기 누적 스마트폰 악성코드 동향 발표 - 올해 1~3분기 누적 스마트폰 악성코드 2년 전 동기간 대비 10.4배 증가 - 유해가능 앱(49.9%), 트로이목마(45.5%)가 전체의 95.4% 차지 스마트폰 보급률 증가 및 모바일 금융거래가 보편화되면서 스마트폰에 저장된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탈취하기 위한 공격자들의 악성코드 배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 사용자를 노리는 악성코드가 2014년 1~3분기 누적으로 총 107만 9,551개로 나타나 2년 전 동기간(11만 2,902개) 대비 10.4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13년도 동기간(92만 2,707개)과 비교해도 약 17% 증가한 수치이다. (보충자료 1) 지난 1분기부터 3분.. 2020. 4. 21.
[김홍선 CEO 칼럼] 유혹의 인터넷이 정보보안의 시작 2008.09.29 PC가 필수품이 되기 까지 1980년대 개인용 컴퓨터인 PC를 산업으로 형성한 것은 IBM과 애플(Apple)이었다. 그러나, 시장을 바라보는 두 회사의 시각 차이는 뚜렷했다. 업무용 컴퓨터(Business Computer)에 주력해 온 IBM은 개인용 컴퓨터 시장을 하나의 옵션 정도로 생각했다. 기업에서 사용되는 컴퓨터가 일반가정에서 사용되리라고 상상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그러나, 벤처정신이 투철한 애플은 특정시장을 공략하는 집중력이 돋보였다. 그러한 차이는 제품의 개념에 반영되어 있다. IBM은 사용자가 알아서 필요한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오픈 플랫폼을 지향했고, 제품 제작도 누구든지 호환기종을 제작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IBM이 컴퓨터에 관한 기술에 가장 앞서 있음.. 2020. 4. 20.
[안철수연구소 칼럼] 백신의 미래…더 가볍고 더 빨라진다 2008.09.26 백신이 변화하고 있다. 급변하는 인터넷 환경과 고객의 요구에 대응하며 포인트 솔루션에서 토털솔루션으로, 다시 웹 2.0 기술을 접목한 서비스 형태로 지속적인 진화를 하고 있다. 단순 안티바이러스 툴을 넘어 사용자의 PC 사용을 더욱 안전하고 편하게 하는 방향으로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최근 백신의 변화를 주도하는 방향은 크게 ‘경량화와 가속화’, ‘케어 영역의 확대’로 나누어볼 수 있다. 백신, 더 가볍고 더 빨라진다 인터넷의 급속한 성장과, PC와 PC가 네트워킹된 상황에서 악성코드의 유포 채널이 미디어를 통한 수동적인 방법에서 사이트를 통한 능동적인 방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그에 따라 악성코드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백신이 진단하는 악성.. 2020. 4. 20.
2014.05.13 안랩, 2014년 1분기 스미싱 악성코드 통계 발표 - 1분기 스미싱 악성코드 총 2,062개로, 작년 1분기 대비 약 4배, 2012년 1분기 대비 약 400배 이상 증가 - 단순 소액결제 시도에서 사용자 대형 금융 피해의 시작점으로 진화 - 메시지 내 URL 실행 자제,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허용 금지 설정, 스미싱 탐지 전용 앱 설치 등 필요 작년부터 급증하기 시작한 스미싱(보충자료 1) 악성코드가 올 1분기에도 여전히 증가세를 보였다. 안랩(CEO 권치중, www.ahnlab.com)은 내부 집계 결과(보충자료 2), 2014년 1분기 스미싱 악성코드가 총 2,062개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해 1분기 504개 대비 약 4배, 2012년 1분기 5개에 비하면 무려 400배 이상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2012년 한 해 동안 발견된.. 2020.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