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1186 유행 타는 보안 용어, 바이러스부터 좀비PC까지 2011.09.19 안녕하세요. 안랩인입니다. 오늘은 ASEC 차민석 책임 연구원이 안랩 보안 칼럼에 기고한 '시대에 따라 등장한 다양한 악성코드 관련 용어들'에 대한 글을 소개하겠습니다. - 최근 발생한 대규모 고객 정보 유출 사건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좀비PC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 ‘좀비PC’가 검색어 상위에 오르기도 했다. 좀비PC의 개념은 사실 기존 악성코드와 특별히 다르지 않은데, 왜 이런 비슷한 용어가 계속 생겨나는 걸까? 컴퓨터 바이러스(이하 바이러스)가 일반에게 처음 알려진 건 1988년 이후다. 당시, ‘바이러스’라는 용어 자체가 낯설어 많은 사람들이 생물학적 바이러스와 혼동하거나 감염된 디스크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오해하기도 했다. 초등학생이었던 필자도.. 2020. 4. 23. 스티브잡스, 프레젠테이션에 왕도는 없다! 2011.08.23 Presentation의 대가, Steve Jobs 세상에는 소위 Presentation의 대가들이 있다. 그 중 하나를 뽑으라면 많은 사람들이 주저하지 않고 Apple의 CEO인 Steve Jobs를 꼽는다. 그의 Keynote Speech 동영상을 보고 있노라면 2시간이 결코 지루하거나 따분하지 않다. 한편의 영화나 드라마를 본 느낌이다. 중간 중간에 참석자들로부터 감탄과 박수 갈채가 쏟아 지기도 한다. 그의 제품 소개가 끝나는 순간 그 제품을 내 손에 넣을 수 있는 날을 학수고대하게 된다. 그의 등장 자체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진정한 이 시대의 아이콘임에는 틀림이 없는 듯 하다. Steve Jobs에 관해서는 여러 편의 책이 출간되어 있다. 그의 인생.. 2020. 4. 23. 광고의 바다에서 현명한 소비자 되는 방법! 2011.04.25 어느 날 필자가 활동하는 카페에 모 결혼정보회사에 대해 남긴 댓글이 차단되었다는 통보가 왔다. 카페회원 중 모 결혼정보회사에 대한 질문에 해당 업체가 예전 자사에 좋지 않은 내용이 올라오면 명예훼손으로 글을 차단했다는 답변을 달았는데 해당 업체에서 필자의 그 댓글도 차단했다. 인터넷에서 해당 결혼정보회사를 검색해보니 모두 추천하는 내용뿐이었다. 그리고 간간히 보이는차단 글은 자사에 불리한 내용으로 보였다. 또한 해당 업체를 추천한 아이디를 보면 무의미해 보이는 영문자나 한글로 변환해보면 ‘더럽다OO’, ‘초O롱’ 등 같은 단어로 기계적으로 만들어낸 가능성도 있었다. 이른바 업체에서 질문을 올리고 업체에서 답변을 달아 홍보하는 게 아닐까 하는 의심이 들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광고가 없.. 2020. 4. 22. [CEO칼럼] 페이스북 만든 건 돈벌이보단 즐거움 2011.04.13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는 초창기에 수익을 내기보다 사람들이 즐겁게 빠져들 수 있는 무엇인가를 만드는 데 주력했다. 공식적으로 나서기를 싫어하는 그가 모처럼의 인터뷰에서 “진부하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사람들의 삶을 좀 더 윤택하게 만들고 싶다. 특히 사회적 관계에서 말이다”라는 소박한 꿈을 밝힌 적이 있다. 이 회사의 각종 일화를 생생하게 담은 ‘페이스북 이펙트’에서는 이러한 정신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페이스북의 중요한 목적은 비즈니스보다 즐거움이었으며 이 같은 저커버그의 취지는 짧은 페이스북 역사를 관통하는 중요한 요체였다.” 젊은 대학생들의 연이은 죽음으로 사회적 충격이 크다. 미국의 일류 대학에서도 스트레스로 자살을 선택하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막상 우리 주위.. 2020. 4. 22. 이전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2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