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847 2011.03.04 안철수연구소, 국정원 · 방통위와 신속한 사전 대처로 디도스 공격 차단 이번 3. 4 DDoS 공격은 안철수연구소가 국가정보원,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긴밀하게 협조하고 신속히 사전 대처하여 디도스 공격을 차단할 수 있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이름, 안철수연구소가 국내 정보 보안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2020. 4. 5. [ASEC리포트 4월]트레이 아이콘 시스템 경고 위장한 클릭커-메이크얼릭 2배 증가 2008.05.20 출처 : 안철수연구소 ASEC[원문] 지난 4월은 스파이웨어로 인한 고객들의 피해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그 중 가장 큰 비율로 증가한 것은 허위 안티-스파이웨어와 클릭커-페이크얼럿(Win-Clicker/FakeAlert) 종류이다. 이들은 둘 다 2배 이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부분 다운로더-즐롭(Win-Downloader/Zlob)을 통한 배포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1] 허위 안티-스파이웨어 진단 수 [그림 2] 클릭커-페이크얼럿(Win-Clicker/FakeAlert) 진단 수 클릭커-페이크얼럿은 사용자에게 허위 안티-스파이웨어 설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주로 이용되는 방식으로는 트레이 아이콘을 등록하여 메시지 창을 주기적으로 보여주도록 하는 방식 또는 다이얼로.. 2020. 4. 4. [ASEC리포트]해커들, 시스템보다 웹사이트 취약점 노려 악성코드 배포 2008.05.19 [그림 1] 악성코드 배포를 위해 침해된 사이트 수 / 유포지 수 2008년 4월, 웹 사이트 경유지/유포지 수는 410/61으로 최근 1년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경유수는 지난달 보다 증가한 반면 유포지 수는 오히려 약간 감소하였다. 이는 여전히 역시 소수의 공격자에 의해 다수의 웹사이트가 해킹되는 것을 추정해볼 수 있다. 2008년 4월 결과에서는 2008년 3월에서 탐지되지 않은 MS07-017 취약점을 이용한 조작된 Animated cursor 파일을 이용한 악성코드 배포의 수가 25개의 사이트로 다시 증가하였다. 3월과 마찬가지로 악성 코드 배포를 위해 중국 벤더에서 배포하는 ActiveX 콘트롤의 취약점 공격 코드가 삽입된 페이지가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중국 벤더.. 2020. 4. 4. [ASEC리포트]2008년 4월 악성코드 동향 2008.05.16 2008년 4월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 Top 10에 랭크 된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건수는 463건으로 4월 한 달 접수된 총 피해건수(5797건)의 8%에 해당한다. 이 수치는 4월 한 달 전체 악성코드 피해건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데, 이는 4월 한 달 동안 접수된 악성코드들은 특정 악성코드가 광범위하게 전파되어 피해를 입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악성코드들이 고르게 분산되어 피해를 입힌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악성코드에 의한 피해는 광범위한 확산을 통하여 과다 트래픽 유발로 인한 네트워크 마비, 시스템리소스의 과다한 사용, 실행파일의 감염으로 인한 정상적인 프로그램의 실행불가 등 서비스거부를 목적으로 하였던 반면에 최근에는 드로퍼 등을 통한 또 다른 악성코드의 설치나.. 2020. 4. 4. 이전 1 ··· 511 512 513 514 515 516 517 ··· 7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