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876 보안 산업의 전환점 (1999) | A Turning Point in Korea’s Cybersecurity Industry (1999) 1999년 4월 26일 아침, 안랩의 전화는 쉴 새 없이 울렸습니다. 문제는 바로 전국의 PC 30만 대를 일시에 초토화시킨 ‘CIH 바이러스’. On the morning of April 26, 1999, AhnLab's phones rang off the hook. The cause was the "CIH virus", which instantly crippled over 300,000 PCs across Korea. 안랩은 사고 발생 전부터 일찍이 CIH 바이러스에 대비해야 한다고 언론에 발표했지만, 당시 컴퓨터 보안에 대한 인식이 낮았던 탓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습니다. Even before the incident, AhnLab had publicly warned about the need to.. 2025. 3. 5. 인터넷이 멈춘 날 (2003) | The Day the Internet Stopped (2003) 2003년 1월 25일 토요일 오후, 전국적으로 인터넷이 먹통이 되고 있다는 소식과 함께 안랩에 긴급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바로 MS-SQL 서버가 ‘이상 패킷’을 뿌리고 있다는 제보였습니다. 안랩의 보안 전문가들은 즉시 KIDC(인터넷데이터센터)로 달려가 조사에 착수했고, 몇 시간 만에 원인이 신종 웜바이러스인 ‘SQL 슬래머(Worm.SQL.Slammer)’임을 밝혀냈습니다. On the afternoon of January 25, 2003, Ahnlab received an urgent report as news spread that internet was down across the country. The report indicated that MS-SQL servers were sending .. 2025. 3. 5. 일본을 흔든 ‘위니 웜’ (2006) | The "Winny Worm" That Shook Japan (2006) ‘최악의 바이러스 전염, P2P프로그램 통해 전파’ "Worst Virus Outbreak, Spreading via P2P Program" 2006년 2월, 일본에서는 인기 파일공유프로그램(P2P) ‘위니(Winny)’를 이용해 전파되는 ‘위니 웜’이 기승을 부리며 정보 유출 사고가 속출했습니다. 위니 웜이 일반인의 개인적인 사진부터 주요 정부 기관의 기밀 자료에 이르는 PC 내 데이터를 불특정 다수가 접근할 수 있는 P2P 공유 네트워크에 유출한 것입니다.In February 2006, Japan faced a wave of data breaches caused by the “Winny Worm,” a virus that spread through the popular file-sharing prog.. 2025. 3. 5. 7.7 디도스 (2009) | The 7.7 DDoS Attack (2009) 2009년 7월 7일 저녁, 안랩은 국가정보원과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다급한 전화를 받았습니다. 바로 청와대를 포함한 국내 주요 기관과 기업이 대규모 디도스 공격을 받았다는 것. On the evening of July 7, 2009, AhnLab received urgent calls from Korea's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nd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KISA). The news was critical: key institutions and major companies, including the Blue House(the office of the President), were under massive DDoS attacks. .. 2025. 3. 5.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7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