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31032

2014.10.17 안랩, 2014년 3분기 스미싱 악성코드 통계 발표 - 3분기 스미싱 악성코드 총 2,850개, 전년 동기 대비 41.7% 증가 - 금전피해 유발 목적의 악성코드가 전체의 79.1%를 차지 - (금전피해 유발 악성코드 중) ‘뱅쿤(Bankun)’류 악성코드가 전체 중 46.5%로 가장 많아 - 택배 사칭에 이어 청첩장, 돌잔치 초대장 등 전통적인 수법이 가장 많이 발견된 문구 유형 - 메시지 내 URL실행 자제,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허용 금지 설정, 스미싱 탐지 전용 앱 설치 등 필요 스미싱(Smishing, 보충자료 1 참조) 악성코드가 2014년에도 여전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2014년 3분기 가장 많이 발견된 스미싱 악성코드 유형은 ‘뱅쿤(Bankun)’류, 문구는 ‘택배사칭’으로 밝혀졌다.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 2020. 4. 21.
2014.10.13 안랩, ‘차세대 관제(NG-MSS) 서비스’ 출시 -지능형 보안위협 대응 - 모니터링 범위 확대, 새로운 탐지 기법 및 보안 위협 분석, 보안 위협 가시성추가 - 전사에서 수집한 ‘빅데이터’ 기반으로 위협 분석 및 공격 흐름 분석 제공 - 보안 관리자를 위한 조치항목 우선순위화, 위협결과 분석 등 시각화 대시보드 제공 - 단일 공격에 대한 개별 대응을 넘어, 인텔리전스 기반의 보안위협 대응이 가능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빅데이터 기반 분석으로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지능형 지속 보안위협)와 같은 지능형 공격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보안 위협 현황에 대한 가시성을 제공하는 ‘차세대 관제 서비스(NG-MSS, Next Generation-Managed Security Service, 보충자료 참조)’를 개시했다고 발표했다.. 2020. 4. 21.
바이러스와 악성코드, 도전과 응전의 역사 2009.01.04 [기획 특집]악성코드의 역사 모든 분야에는 역사가 존재한다. 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를 통칭하는 악성 코드도 결코 짧지 않은 시간이 지나면서 과거와 현재를 통해 미래의 악성 코드를 예측해 보기로 하자. [1] 1980년대 중반까지 – 게임의 준비 [2] 1986년 - 최초의 MS-도스 바이러스 출현 [3] 1987년 - 초기 바이러스 등장 [4] 1988년 – 일반 사용자에게 바이러스가 널리 퍼짐 [5] 1989년 - 본격적인 피해 발생 [6] 1990년 - 바이러스제작소 불가리아 [7] 1991년 – 연결형 바이러스 Dir-II 바이러스 [8] 1992년 - 미켈란젤로 바이러스 신드롬 [9] 1993년 - MSAV [10] 1994년 - 인터넷을 이용한 유포 시작 [11] 1995.. 2020. 4. 20.
[안철수연구소 칼럼]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와 백신의 미래 2009.01.02 보안 제품의 기능 확장·웹 보안과 결합 지속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한 번쯤은 바이러스에 걸려서 고생을 하거나 애드웨어 때문에 원하지 않는 광고 창을 닫느라 땀을 흘린 경험을 가지고 있다. 또 스파이웨어는 사용자가 알아차리지 못하게 정보를 빼돌린다. 이러한 악성코드는 나름대로 각각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 ‘성격’은 탄생 초기에는 어설펐지만 수많은 운영체제와 사용자 환경을 겪으면서 ‘진화’해 가고 있는 것이다. 단, 스파이웨어는 사용자가 알아차리지 못하게 정보를 빼돌리고 있었으니 눈에 띄는 직접적인 피해나 번거로움은 없었을지도 모르지만, 쇼핑 사이트나 이동통신 사이트의 사용자 정보 유출 뉴스를 듣고 나면 며칠 후부터 메일과 SMS를 통하여 증가하는 스팸과 광고에 짜증내 .. 2020.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