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랩1429

같은 얼굴 다른 이름, 악성코드 작명법은? 2009.11.09 왜 백신은 다른 진단명을 가질까 ? ‘Kido’, ‘Conficker’, ‘Downadup’, ‘DOWNAD’는 V3에서 Win32/Conficker.worm.173318 로 진단하는 샘플의 다른 백신 제품의 진단명이다. 악성코드명으로 보면 같은 이름에도 접두어나 변형이 각 업체마다 제각각이라 통일성을 찾기 힘들다. 악성코드 진단명은 왜 회사마다 다르며 통일방안은 없을까? 제각각인 악성코드 진단명 각 백신에서 사용하는 악성코드 진단명이 다른건 업체별로 고유의 악성코드 진단명명법이 있기 때문이다. 크게 악성코드 진단명은 악성코드에 대한 특징을 나타내는 접두어, 악성코드 이름, 변형으로 나뉠 수 있다. 접두어는 회사별로 표시 방식이 다르며 악성코드 진단명은 해당 악성코드를 분석한 분석가가.. 2020. 4. 21.
2010년 보안 트렌드, “평판”이 대세 2009.10.27 2010년의 단말 보안 제품의 키워드는 “평판”이다. 여러 회사에서 내년도 제품에 평판을 기반으로 한 기능을 탑재하였다. 시만텍과 카스퍼스키의 2010 제품에 주 기능으로 탑재하고 있으며 안랩에서도 평판기반기능을 탑재하기 위하여 준비 중이다. 사실 평판기반기술은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안철수연구소는 지난 2007년 초 평판기반 서비스 ‘그레이제로’를 발표한 바 있다. 과거의 평판기반기술이나 서비스의 목적이 사용자의 평가에 기반하여 어떤 제품이나 프로그램의 특성을 규정하는데 있었다고 한다면, 지금 도입되는 평판기반기술은 미처 수집/분석되지 못한 악성코드에 대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새롭게 발표되는 평판기반기술에서는 사용자의 참여로 프로그램의 특성이 좌지우지되지는 않는다. 우리 .. 2020. 4. 21.
2015.02.06 안랩, PC/스마트폰 ‘랜섬웨어 피해 예방 3대 수칙’ 제시 - PC사용자: 스팸성 메일/첨부파일 실행 금지, 중요한 파일 수시 백업, 주요 문서 ‘읽기전용’ 설정 - 스마트폰 사용자: 공식 앱 마켓 이용, 문자메시지/SNS 내 URL 실행 자제, 감염 시 안전모드로 해당 앱 삭제 최근 ‘CTB 락커’, ‘심플 락커’와 같이 사용자의 중요 파일 등을 암호화해 열지 못하도록 만들고, 금전을 요구하는 ‘랜섬웨어(Ransomware, 보충자료 참고)’가 PC와 스마트폰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랜섬웨어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PC사용자와 스마트폰 사용자의 ‘랜섬웨어 피해예방 3대 수칙’을 제시하고 사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PC사용자의 ‘랜섬웨어 피해 예방 3대 수칙] ▲스팸성 이메일.. 2020. 4. 21.
2015.02.05 안랩, 2014년 결산 실적 발표 - 매출1,354억(1,329억), 영업이익 90억(111억), 순이익 90억(52억) (*괄호 안은 별도재무제표 기준) - 외부상품 매출은 줄고, 자사 제품 및 서비스 등 다양한 사업분야에서 고르게 성장 안랩(CEO 권치중, www.ahnlab.com)은 연결재무제표 기준 2014년 매출액 1,354억원, 영업이익 90억원, 순이익 90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은 소폭 감소(1%)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129%, 순이익 40% 증가한 것이다. 안랩은 2014년 별도기준 매출액 1,329억원, 영업이익 111억원, 순이익 5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영업이익은 104% 증가하고 매출액과 순이익은 각각 0.4%, 6% 소폭 감소한 수치이다. 외부상품 매출.. 2020.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