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1445 보안, 이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2010.07.20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것이 있다. 기업이 성장, 발전하게 되면 사회적 영향력이 커지고 이에 따라 사회의 일정 기능을 담당하게 되어 어느 정도 그 사회에 대한 책임이 부과되는데 이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 정의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정의한 Caroll 교수에 의하면 이는 4가지로 구분된다고 한다.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이 바로 그것이다. 사회적 책임의 예를 들면 이렇다. 유한킴벌리는 목재를 원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업이다. 그러므로 이런 원료를 얻기 위해서는 수 많은 나무를 잘라야만 할 것이다. 나무를 많이 잘랐다고 해서 기업이 나무를 다시 심어야 한다는 법적 의무는 없다. 하지만 유한킴벌리는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라는 캠페인을 1.. 2020. 4. 22. 한일 사이버 공격에 대한 몇가지 단상 2010.07.05 2010년 3월 1일 한일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다는 기사가 하나 떴다. 관련된 내용은 여러 블로그 를 통해서도 알려졌는데 짧게 요약하면 러시아 한인 유학생 구타 사망 사건과 벤쿠버 김연아 선수 금메달과 관련된 일본측 댓글 반응에 대한 응징(?) 차원에서 카페가 만들어졌고 공격을 진행했다. 2010년 3월 1일 오후 1시에 공격이 시작되었고 일본 2ch 측에서도 맞대응 했다. 이런 공격은 예전에도 종종 있었던 일이나 이번에는 언론을 통해 비교적 상세히 알려졌다. 이번 사건을 보면서 문득 몇 가지 생각이 들었다. 첫째, 공격 프로그램을 진단해야 하는가? 우리나라에서의 2ch 공격에는 단순 키보드 연타(?)뿐 아니라 공격 프로그램도 이용되었다. 그림 1 2ch 공격 프로그램 중 하나 백신업.. 2020. 4. 22. 2015.04.28 안랩 V3 모바일, 글로벌 테스트에서 꾸준히 정상권 진단율 기록 - AV-TEST 14회(매회) 연속 인증 획득, 2014년부터 열린 8회 테스트 중 7회에서 진단율 100% 획득 - AV-Comparatives의 테스트에서 3년 연속 우수한 진단율(2013년: 99.9%, 2014년: 100%, 2015년: 99.7%)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자사의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보안제품 'V3 모바일’이 글로벌 독립 보안제품 성능 평가 기관인 AV-TEST(www.av-test.org)의 2015년 3월 모바일 보안 제품 테스트에서 진단율 100%를 기록하며 14회 연속으로 인증을 획득(보충자료 1 참고)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증 획득은 지난 2월, 또 다른 글로벌 보안제품 평가기관인 AV-Comparatives(www.av-comparativ.. 2020. 4. 22. 2015.04.24 안랩 V3 모바일, AV-Comparatives 테스트에서 높은 진단율(99.7%) 기록 - 국내 유일 3년 연속 참가, 오진 없이 악성코드 샘플 99.7% 진단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자사의 모바일 보안 제품인 'V3 모바일’이 글로벌 보안제품 성능 평가 기관인 ‘AV-Comparatives (이하 AV 컴패러티브, www.av-comparatives.org)’가 2015년 1사분기(2월)에 실시한 진단율 평가에 참가해 99.7%의 진단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AV 컴패러티브의 이번 진단율 테스트는 카스퍼스키, 트렌드마이크로 등 12개의 글로벌 보안 기업만을 대상으로, 총 4,523개의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샘플을 사용해 진행됐다. 안랩은 99.7%의 진단율을 기록했으며, 함께 진행된 오진(false positive) 테스트에서는 단 한 건의 오진도 기록하지 않았다.. 2020. 4. 22. 이전 1 ··· 160 161 162 163 164 165 166 ··· 3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