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악성코드818

2012.10.09 특정 의원의 개인정보 유출 주장에 대한 입장 오늘 특정 국회 의원이 제기한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주장은 사실이 아닙니다. 해당 의원의 제기한 특정기업들의 개인정보 침해사고는 사고를 입은 해당기업의 (침해사고)원인이 안랩이 담당한 분야와 무관하거나 안랩 책임이 없는 것으로 입증된 것들입니다. 해당 의원측의 주장은 보안관제 등을 포함한 바이러스 백신, 방화벽, 서버 등 IT 보안 시스템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현대의 보안은 사용자 PC레벨, SNS와 같은 웹, 네트워크 레벨, 서버 등 다양한 계층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수많은 보안기업들이 보안시스템 구축 사업에 참여하여 바이러스 백신을 제공하기도 하고 보안관제 컨설팅을 담당하기도 하고 웹 방화벽 서비스를 하기도하고 서버 보안을 책임지기도 합니다. 안랩이 기업.. 2020. 4. 12.
클라우드 시스템이 악성코드를 놓칠 수 없는 이유! 2011.05.27 안티바이러스 제품(백신)은 "더 많은" 악성코드를 "더 빨리" 그리고 오류 없이 "더 정확히" 잡는 것이 목표입니다. PC와 같이 보호해야 하는 장치와 위협에 대응하는 센터를 가상의 단일 네트워크로 묶어서 바라보는 클라우드 개념은 이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하는데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다 줍니다. 여기서는 “더 빨리”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할까요. 그림 1 안티바이러스 제품 성능의 주요 요소 “더 빨리” 대응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가 만족되어야 합니다. 더 빠른 샘플과 위협정보의 수집, 더 빠른 분석과 진단, 더 빠른 엔진 배포가 필요하다. 이 세 가지는 서로 비슷한 수준으로 향상되어야 합니다. 어느 한 분야가 느리다면 의미가 반감되고 마는데요. 예를 들어 정보의 탐지와 분석은 10분 .. 2020. 4. 11.
[V3 23주년 기념] 제 2탄. 안철수연구소 설립과 V3 성장사 2011.05.26 선택의 기로에 선 안철수박사 어느 순간 선택의 기로에 서게 마련이다. 낮에는 의학공부를, 밤에는 백신치료를 하던 안박사도 하나를 선택해 모든 것을 걸어야 하는 상황이 왔다. 의대 교수로의 발령을 앞둔 시점이었다. 개인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이 한계에 부닥쳤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늘어나는 고객 문의에 제대로 대응할 수가 없었다. 의대 교수 일이 싫은 것은 아니었다. 사람을 도와줄 수 있는 일로서 재미있고,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편 새벽 세시에서 여섯시 까지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보면 몰입하다 시간이 정신없이 지나가고 보람을 느끼기도 했다. 컴퓨터 바이러스 개발자라는 미개척분야의 불확실성과 함께 올라오는 것은 .. 2020. 4. 11.
구글 안드로이드마켓에서 악성코드 위장 앱 퇴출! 2011.05.19 최근 구글 안드로이드 마켓에 zsone으로 등록된 앱 일부가 몰래 SMS를 전송하는 것으로 밝혀져 퇴출되었습니다. V3 모바일 최신엔진에 반영되었지만, 주의를 요합니다. 국내외 악성코드와 보안위협에 실시간 대응하는 안연구소 ASEC대응팀에 포스팅 된 글입니다. 최근 트로이목마성 어플리케이션으로 밝혀지면서, 구글 안드로이드마켓에서 퇴출당한 'zsone' 악성코드가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보안위협에 계속 노출되고 있는 사용자들은 이제 더이상 구글이 운영하는 안드로이드 마켓조차 믿고 이용할 수 없다는 국제적 여론도 형성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진화하는 모바일 보안위협에 대응하고자 발견된 악성코드에 대해 분석 및 정리해 보겠습니다. What is the "zsone"? z.. 2020.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