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랜섬웨어20

2015.07.14 안랩, 유명 유틸리티로 위장한 스마트폰 랜섬웨어 주의 당부 -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로 위장, 감염 즉시 스마트폰 잠근 후 금전 요구/스마트폰 정보 탈취 - 해당 랜섬웨어 감염 시, 안전모드로 부팅한 후 악성 앱 삭제 필요 - ▲공식 앱 마켓 평판 확인 후 이용, ▲문자메시지/SNS 내 URL 실행 자제, ▲스마트폰 백신 설치 및 자동 업데이트 “스마트폰 사용자를 노리는 랜섬웨어 주의하세요!”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최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의 데이터를 인질로 삼아 금전을 요구하는 ‘스마트폰 랜섬웨어(보충자료 1)’ 사례가 발견되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랜섬웨어 감염과정] 공격자는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를 사칭한 악성 앱을 제작하고 사용자에게 유포했다. 사용자가 해당 앱 설치를 완료하면 랜섬웨어에 감염된다... 2020. 4. 24.
2015.05.01 안랩, 디도스 기능 추가된 변종 랜섬웨어 주의당부 - 기존 ‘크립토락커’ 랜섬웨어 기능에 디도스 기능 추가 - 일반적 파일생성 방식 아닌 코드삽입 방식으로 디도스기능 활성화해 백신 진단 우회시도 - PC사용자는 기본 보안수칙 생활화, IT관리자는 보안관리 강화 등 조치 필요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 )은 최근 국내에 확산되었던 랜섬웨어(보충자료1 참조)의 일종인 크립토락커(Crypto Locker)의 변종을 발견하고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변종 악성코드의 특징] 이번에 안랩이 발견한 변종은 랜섬웨어 기능 외에 디도스(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분산서비스거부)공격 기능이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디도스 기능을 하는 악성코드는 파일형태로 만들어지는 일반적인 방식이 아니라, 변종 악성코드에.. 2020. 4. 23.
2015.02.06 안랩, PC/스마트폰 ‘랜섬웨어 피해 예방 3대 수칙’ 제시 - PC사용자: 스팸성 메일/첨부파일 실행 금지, 중요한 파일 수시 백업, 주요 문서 ‘읽기전용’ 설정 - 스마트폰 사용자: 공식 앱 마켓 이용, 문자메시지/SNS 내 URL 실행 자제, 감염 시 안전모드로 해당 앱 삭제 최근 ‘CTB 락커’, ‘심플 락커’와 같이 사용자의 중요 파일 등을 암호화해 열지 못하도록 만들고, 금전을 요구하는 ‘랜섬웨어(Ransomware, 보충자료 참고)’가 PC와 스마트폰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랜섬웨어에 의한 피해예방을 위해, PC사용자와 스마트폰 사용자의 ‘랜섬웨어 피해예방 3대 수칙’을 제시하고 사용자들의 주의를 당부했다. [PC사용자의 ‘랜섬웨어 피해 예방 3대 수칙] ▲스팸성 이메일.. 2020. 4. 21.
올해 상반기 눈길을 끈 보안 키워드 따라잡기 2013.08.08 APT, 파밍, 스미싱, 망분리, 잊혀질 권리, 핵티비즘, 랜섬웨어. 이들 키워드는 2013년 상반기 화두가 된 주요 보안 이슈를 꼽은 것이다. 올해 초 3.20 사이버 테러와 함께 또 다시 부각된 APT 공격과 망분리부터,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파밍과 스미싱, 해커 그룹 어나니머스와 함께 부각된 핵티비즘과 현재 입법화 논의가 진행 중인 잊혀질 권리까지. 이 용어들은 보안 업계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단어지만, 일반 사용자에게는 낯선 것들도 있을 수 있다. 이 중 생소한 단어가 있다면,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두자. 보안 위협이 날로 심해지는 만큼 이들 용어를 접하게 될 기회가 더 많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함께 소개하는 대응방법을 기억해두면 좀 더 안전한 보안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 2020.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