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랜섬웨어25

올해 상반기 눈길을 끈 보안 키워드 따라잡기 2013.08.08 APT, 파밍, 스미싱, 망분리, 잊혀질 권리, 핵티비즘, 랜섬웨어. 이들 키워드는 2013년 상반기 화두가 된 주요 보안 이슈를 꼽은 것이다. 올해 초 3.20 사이버 테러와 함께 또 다시 부각된 APT 공격과 망분리부터,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는 파밍과 스미싱, 해커 그룹 어나니머스와 함께 부각된 핵티비즘과 현재 입법화 논의가 진행 중인 잊혀질 권리까지. 이 용어들은 보안 업계에서는 자주 사용하는 단어지만, 일반 사용자에게는 낯선 것들도 있을 수 있다. 이 중 생소한 단어가 있다면,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두자. 보안 위협이 날로 심해지는 만큼 이들 용어를 접하게 될 기회가 더 많아질 것이기 때문이다. 함께 소개하는 대응방법을 기억해두면 좀 더 안전한 보안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 2020. 4. 18.
불량 백신에 의한 피해는 어떻게 발생하나요? - 이용편(1) - 2012.01.30 안녕하세요. 안랩인입니다. 오늘은 불량 백신의 피해 중 '이용편'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Q 프로그램 팜업창이 뜨면 PC가 멈추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지금까지 몰랏지만 '0000'라는 프로그램이 제 PC에 설치가 되어 잇었나 봅니다. 프로그램명이나 보이는 화며으로 판단해 보면, 분명 바이러스와 같은 악성코드를 치료하는 프로그램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이프로그램과 관련된 팝업창이 나타나면 PC가 작동을 멈추고 그 어떤 기능도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팡업창에는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습니다. 0000 프로그램을 이용해 치료하세요" 라는 문구와 함께 월 9,900원이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PC를 인위적으로 다시 부팅하고 나면 팝업창은 사라지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2020. 4. 14.
변장의 달인 랜섬웨어를 주의하라 2011.09.20 안녕하세요. 안랩인입니다. 오늘은 동유럽과 러시아 등지에서 제작되는 것으로 알려진 랜섬웨어(Ransomware)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랜섬웨어는 주로 문서나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정상적인 사용을 방해하고, 그에 댓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형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랜섬웨어는 악성코드 제작자에 의해 직접 제작되는 경우도 있으나 최근에는 다른 일반적인 악성코드와 동일하게 랜섬웨어 생성기에 의해 제작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지적인 한계를 벗어나 감염된 시스템의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확인하여 그에 맞는 언어로 표기하는 형태도 있어, 한국어 윈도우에서는 한국어로 표기하는 랜섬웨어도 발견된 사례가 있습니다. 9월 초에 발견된 랜섬웨어의 경우에는 특이하게 아래 이.. 2020. 4. 13.
안철수연구소, 2011년 1분기에는 어떤 악성코드들이 출현했나? 2011.04.27 안녕하세요. 안철수연구소 ASEC에서 2011년 3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1 Vol.15을 발간하였습니다. 이 번 Vol.15에서는 2011년 1분기를 마감하며 지난 1분기 동안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들에 대해서도 같이 다루고 있는데요, 어떠한 악성코드 이슈들이 있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 정교한 타깃 공격에 기반을 둔 APT 위협과 관련 보안 사고들 특수 목적으로 정교하게 제작되는 APT 보안 위협들과 관련된 보안 사고가 상반기에만 두 차례나 발생하였습니다. 2011년 2월에 알려진 나이트 드래곤(Night Dragon) 보안 위협의 목적은 글로벌 에너지 업체들을 대상으로 해당 업체들이 가지고 있는 영업 비밀들을 탈.. 2020.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