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47

2023.04.17 알아 두면 쓸모 있을 쓰레기 분리배출 방법! (by. 몽이엄마) 몽이할머니 👹: 누구인가, 누가 달걀 껍데기를 음식물 쓰레기에 버렸는가? 몽이엄마 🙋‍♀️: 저..전데용. 달걀은 음식물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몽이엄마입니다. 네, 부끄럽지만 몽이엄마는 이 나이 먹도록 쓰레기 배출법을 제대로 모르고 있었답니다. (아무래도 ‘엄마! 이거 어떻게 해?’ 스킬을 너무 많이 사용한 것 같아요 😓) 분명히 초등학생때부터 자원 재활용, 자원 순환을 위해 분리수거를 꼭! 해야 한다는 것을 배워왔는데, 생각보다 헷갈리는 배출 방법이 많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여러분들께 몽이엄마의 하루로 알아보는 ‘알아 두면 쓸모 있을 쓰레기 분리배출 방법’을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몽이엄마의 하루로 알아보는 ‘알아 두면 쓸모 있을 쓰레기 분리배출 방법!] Q1. 판교 식당가로 점심을 먹으러 가.. 2023. 7. 18.
2023.04.10 어떤 ‘한 잔’은 그리움을 닮아서 멈출 수가 없거든 (by 달수🦦) 한 달도 잊어본 적이 없어. 어떤 ‘한 잔’은 그리움을 닮아서 멈출 수가 없거든 달수가 멈추지 못하고 매달 찾는 ‘한 잔’은 무엇일까요? 바로 안랩 2층 카페에서 만나볼 수 있는 ‘나눔 한 잔’입니다. 작년 가치알랩에서 ‘2층 카페에 숨어있는 '이 메뉴'를 아시나요?’라는 글로 소개해 드리기도 했었죠. 오늘 가치알랩에서는 매달 키오스크 기부 메뉴인 ‘나눔 한 잔’으로 꾸준히 따듯한 마음을 나누어 주고 계신 기부자 두 분을 만나, 미니 인터뷰를 해봤습니다. 10층 빌리🧐님과의 인터뷰 ​ 달수: 누가 시킨 것도 아닌데, 매달 키오스크로 기부를 하고 계시는 이유가 특별히 있을까요? 빌리🧐: 혼자 카페에 음료 마시러 왔을 때 왠지 마음이 허전해서 나눔 한 잔까지 추가해 주문해요ㅎㅎ 농담이고요. 개인적으로 따로 .. 2023. 7. 18.
2023.04.04 ESG in TECH: 생성형 인공지능, 그 어두운 단면 (by 니니) 안녕하세요, 니니입니다. 이젠 남녀노소 다 그 이름을 안다는 ChatGPT, 이미 많은 분들이 써 보셨겠죠? Chat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이 가져올 혁신에 대해선 이미 많이 들어 보셨을 것 같은데요, 오늘은 우리가 생성형 인공지능을 더욱 책임감 있게 쓰기 위해 고민해봐야 할 지점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짜’를 만들어드립니다 ​​​​​​​이미 많은 이들이 우려했듯 ‘생성형AI’의 ‘생성하는 능력’은 쉽게 악용될 수 있습니다. ‘그럴싸한’ 문장과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 가짜 뉴스를 만들어 사회적인 혼란을 야기하거나, 심지어는 사기와 사이버 위협 등에 악용할 가능성도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딥 페이크(Deepfake)’로 말미암은 혼란은 이미 도래해 있는 듯 합니다. 최근 논.. 2023. 7. 18.
2023.03.29 오늘 내 점심은 몇 kgCO₂e? (by 킴🐳) 오늘 점심 맛있게 드셨나요? 식단 관리를 하는 분이라면 맛도 맛이지만 음식의 칼로리와 영양도 생각하셨을 텐데요. 그렇다면 혹시 내 식사 한 끼의 ‘온실가스* 배출량’도 생각해본 적 있으신가요? *온실가스: 지구에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대기 중의 가스 상태 물질로,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 등의 6가지를 말함1). 이 중에서도 이산화탄소가 80% 이상을 차지.2) 한국인의 평범한 식사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흰쌀밥에 된장국, 배추김치, 제육볶음으로 한 끼를 먹으면 3.5kgCO₂e*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게 되는데요. 이는 승용차 한 대로 14.5km를 이동할 때 배출하는 온실가스양과 같고, 이 정도의 양을 흡수하려면 소나무 0.5 그루가 필요하다고 합니다.3) *C.. 2023.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