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846 USB 등 이동식 저장장치를 이용한 악성코드 전파 우려 2007.08.29 우리가 자주 사용하고 있는 이동식 저장 장치가 악성코드의 위험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안철수연구소 ASEC은 최근 Autorun.inf 파일을 이용하여 해당 드라이브를 열려고 시도하면 연결된 악성파일이 자동 실행되어 이동식 디스크를 포함한 모든 디스크드라이브를 감염시키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안철수연구소 고객상담 센터에는 Autorun.inf 파일로 인한 고객들의 문의 사항이 다수 접수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고객들은 Autorun.inf 파일을 삭제해도 계속 재생성되는 점과 삭제 후 바탕화면에서 내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 드라이브에 접근할 수 없다는 점을 문의하고 있는데요, 이처럼 Autorun.inf을 생성해 피해를 입히는 대표적인 악성코드는 VBS/Solow. .. 2020. 4. 3. 다운로더형 스파이웨어 급증_하나만 설치해도 스파이웨어 와르르르르 2007.08.23 최근 일반 사용자들이 ActiveX 컨트롤 설치 시 보안경고창이 나타날 때마다 좀더 신중한 자세로 받아들이게 되자 스파이웨어 제작/배포 업체들은 ‘다운로더와 번들’이라는 다른 유포 방식으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망됩니다. 실제로 안철수연구소 ASEC이 집계한 7월의 스파이웨어 피해 현황을 살펴보면 다운로더에 의한 피해 신고가 5월 122건, 6월 139건에서 7월 232건으로 급증했습니다. 기존 스파이웨어의 경우에는 동일한 스파이웨어나 그 변형만을 설치하는 업데이트 성격이 강했는데, 최근에 나타난 스파이웨어는 특정 웹 사이트에서 설치 목록과 다운로드 경로를 내려 받아 사용자의 시스템에 다수의 스파이웨어를 설치하는 것. 이러한 다운로더에 의해 설치된 경우, 스파이웨어.. 2020. 4. 3. 메신저로 웜 확산 "패리스 힐튼 사진 파일 열지 마세요!" 2007.08.22 요즘 메신지로 자주 웜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어제에 이어 오늘도 MSN 메신저로 웜이 돌아다니고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푸아스’(Win32/Fuas.worm)라는 이름의 이 웜은 영어로 ‘패리스 힐튼 사진을 본 적이 있느냐?’ 등의 현혹적인 문구와 함께 imgac157.zip 파일이 첨부되어 전파되고 있습니다. 아는 사람이 보냈기 때문에 무심코 파일을 열어본 사람들이 많아 피해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송 방법은 메신저로 ‘Did you see this picture of Paris Hilton?’ ‘Hi, did you see this picture from our summer?’ ‘Look at this image!!!’ ‘Look how cute we look in this.. 2020. 4. 3. 8월 15일자 MS 보안 패치 설치 권고 2007.08.16 MS가 8월 정기 업데이트에서 윈도 보안 취약점에 대한 9개의 보안 패치를 설치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보안 패치는 윈도, 오피스,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추얼PC 등의 결함과 관련된 것들로 이 중 6개는 '치명적'인 결함이고, 나머지 3개는 중요한 결함입니다. 해당 사이트 바로가기 http://www.microsoft.com/korea/athome/security/update/bulletins/200708.mspx 정보보안의 가장 기본은 MS 보안패치를 항상 최신으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MS07-042 - Windows 및 Microsoft Office 취약점 해결(KB 936227) MS07-043 - Windows, Office for Mac 및 Visual Basic 취약점 .. 2020. 4. 2. 이전 1 ··· 535 536 537 538 539 540 541 ··· 7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