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46

MSN 메신저로 전파되는 'PictureAlbum.zip' 주의 2007.08.10 오늘, MSN 메신저로 'PictureAlbum.zip'을 가장한 웜이 전파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3월 Photo Album.zip 파일과 유사한 형태입니다. 메신저에 등록되어 있는 상대방이 "a few pictures from last week, see if you like em"이라는 내용과 함께 해당파일을 첨부합니다. 대화상대가 외국인이 아닌 이상, 영어로 말할 이유는 없겠죠? 너무너무 친한 상대가 보냈다고 하더라도 절대 먼저 클릭하지 마시고, 일단 상대에게 "이거 뭐죠?"라고 확인을 해 보아야 합니다. 만약 상대방이 대답이 없다면, 바로 메신저 창을 닫으시면 사태가 해결됩니다. 무조건 클릭금지! 의심하여 피해막자~!! 2020. 4. 2.
안철수연구소가 전하는 안전한 메신저 이용 수칙 2007.08.08 연초부터 메신저를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가 자주 출현하고 있습니다. ‘Look at this: http://1960.basu????dewa.com/5/496’ 등 특정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스트레이션.젠 웜을 필두로 photo album.zip 파일과 photos.zip 파일을 전송하는 셰도봇(ShadoBot) 웜 변종이 잇달아 발견됐었죠. 해당 인터넷 주소를 보내고, 그 주소를 클릭하면 누가 대화 상대에서 본인을 차단하거나 삭제했는지 알 수 있다며 메신저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하는, 광고성 메시지까지 등장했습니다. 메신저의 보안위협은 악성코드, 취약점, 스팸, 피싱등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현재 악성코드에 의한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메신저.. 2020. 4. 2.
소중한 나의 정보를 지키는 10가지 방법 2007.08.02 신문이나 방송에서 연일 보도되는 뉴스 가운데 하나는 미니 홈피 해킹 등으로 인한 유명인의 사진 유출 파문이다. "개인 정보를 어떻게 관리했길래 그래?"라고 혀를 차기 전에 나는 어떤지를 생각해봐야 한다. 아래에 나오는 10가지 사항을 꼼꼼히 따져 본다면 개인 정보 유출의 피해자가 되는 것을 어느 정도는 막을 수 있다. 1. P2P 프로그램의 공유 디렉터리 설정 확인하기 개인 정보 유출의 온상을 꼽자면 P2P 프로그램의 공유 폴더이다. P2P 프로그램이란 개인 대 개인으로 파일을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P2P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사람의 PC에 있는 파일을 받을 수 있으며 반대로 내 PC에 있는 파일을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다. P2P 프로그램에서는 반드시 자신이 공유할.. 2020. 4. 2.
UCC를 악용한 스파이웨어 설치 주의 2007.07.31 스파이웨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 되었다면, 최근에는 UCC(User Created Contents)의 등장으로 인해 사회적 공학 기법이 자주 사용됩니다. 사람들의 호기심을 노리는 것이죠. 국내에서는 이슈가 된 사건의 동영상 UCC인 것처럼 가장해서 블로그(Blog)에 등록하고 국내의 대표적인 검색 사이트 등에 등록되게 한 후, 이를 검색해서 찾아온 사용자를 대상으로 해당 동영상을 보려면 해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ActiveX 컨트롤을 설치 해야 한다는 허위 안내 문구를 보여주고 설치를 유도하는 방식이 주로 발견되고 있습니다. 실제 예를 들어 살펴보면 [그림 2-1]에서 보는.. 2020.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