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91

PDF파일 두 얼굴, 악성코드 취약점 조심해야 2010.04.29 PDF(Portable Document Format) 취약점 (Exploit/PDF) 최근에는 문서 공유시 사용되는 문서파일 형식이 PDF (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로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오피스 문서파일 형식인 워드(.doc), 엑셀(.xls) 파일을 그대로 공유하는 것 보다 PDF 파일로의 변환을 통해 원본 문서의 수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문서를 읽고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는 편리한 문서파일 형식으로 여겨졌던 PDF (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은 이제 또 하나의 강력한 악성코드가 되었다. PDF를 통한 위협은 2007년 초기 스팸을 통한 공격으로부터 시작되어, 2008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그 위협이 급증하였고, 200.. 2020. 4. 22.
오픈소스 보안프로그램 종류와 안전성은? 2010.04.26 컴퓨터는 다양한 하드웨어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위에 운영체제 및 다양한 소프트웨어들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다. 소프트웨어라는 것이 있기에 우리는 브라우저를 통해 인터넷을 할 수 있고, 동영상을 본다든지 그림을 그린다든지 하는 상상 이상의 많은 것들을 할 수 있다. 그만큼 하드웨어 위에 어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사용방법은 크게 달라지게 된다. 자, 그렇다면 지금 여러분들의 컴퓨터에는 얼마나 많은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나? 그 중에는 돈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상용 소프트웨어도 있을 것이고 무료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도 있을 것이다. 특히 무료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하면 무엇보다도 눈이 가게 된다. 아무런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니 말이다. 지금 필자가 소개하고자.. 2020. 4. 22.
시애틀이 '가장 위험한 온라인 도시'라고? 2010.04.14 지난 2010년 4월 3일, 이 곳 시애틀의 이른 새벽에 유명 컴퓨터 매장 앞에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서서 기다렸다. 애플에서 출시한 '아이패드'(ipad)라는 컴퓨터를 사기 위해서다. 애플의 위력도 위력이지만 워싱턴 주 사람들의 IT에 대한 열정이 드러나는 장면이기도 하다. 필자가 유학생활로 시작해 7년여를 살고 있는 워싱턴 주는 미국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의 첨단을 달리는 곳이다. 곳곳에 즐비한 스타벅스 등의 커피숍에는 노트북을 들고 인터넷을 누비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특히 시애틀, 벨뷰, 타코마, 에버렛 지역(- 우리나라에서 각 ‘구(區, Ward)’에 해당)은 무선으로 인터넷을 연결하는 시스템 와이 파이(Wi-Fi) 네트워크의 미국 내 선두 주자로 오래 전부터 자리매김했다. 말 그대.. 2020. 4. 22.
그녀를 믿지마세요! 트위터 SNS를 통한 공격 2010.04.1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공격 정보의 공유, 소통의 문화. 21세기를 대표하는 키워드 중 하나이다. 수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상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소통의 바다속에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과거 메신저, 온라인 카페, 뉴스그룹 등으로 대변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의 3대 대표주자로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마이스페이스(Myspace)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인맥 네트워크는 참여한 사용자들은 쉽게 서로를 신뢰하고 있어 사이트 내에서 오고가는 대화내용이나 실행파일들에 대한 보안경계심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밖에 없다. 그만큼 인맥 네트워크 내에서의 공격 성공확률이 높기 때문에 피해 사용자의 인맥을 통해 공격을 빠르게 .. 2020.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