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891 유행 타는 보안 용어, 바이러스부터 좀비PC까지 2011.09.19 안녕하세요. 안랩인입니다. 오늘은 ASEC 차민석 책임 연구원이 안랩 보안 칼럼에 기고한 '시대에 따라 등장한 다양한 악성코드 관련 용어들'에 대한 글을 소개하겠습니다. - 최근 발생한 대규모 고객 정보 유출 사건의 주범으로 지목되면서 좀비PC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각종 포털 사이트에서 ‘좀비PC’가 검색어 상위에 오르기도 했다. 좀비PC의 개념은 사실 기존 악성코드와 특별히 다르지 않은데, 왜 이런 비슷한 용어가 계속 생겨나는 걸까? 컴퓨터 바이러스(이하 바이러스)가 일반에게 처음 알려진 건 1988년 이후다. 당시, ‘바이러스’라는 용어 자체가 낯설어 많은 사람들이 생물학적 바이러스와 혼동하거나 감염된 디스크를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오해하기도 했다. 초등학생이었던 필자도.. 2020. 4. 23. 스티브잡스, 프레젠테이션에 왕도는 없다! 2011.08.23 Presentation의 대가, Steve Jobs 세상에는 소위 Presentation의 대가들이 있다. 그 중 하나를 뽑으라면 많은 사람들이 주저하지 않고 Apple의 CEO인 Steve Jobs를 꼽는다. 그의 Keynote Speech 동영상을 보고 있노라면 2시간이 결코 지루하거나 따분하지 않다. 한편의 영화나 드라마를 본 느낌이다. 중간 중간에 참석자들로부터 감탄과 박수 갈채가 쏟아 지기도 한다. 그의 제품 소개가 끝나는 순간 그 제품을 내 손에 넣을 수 있는 날을 학수고대하게 된다. 그의 등장 자체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다. 진정한 이 시대의 아이콘임에는 틀림이 없는 듯 하다. Steve Jobs에 관해서는 여러 편의 책이 출간되어 있다. 그의 인생.. 2020. 4. 23. [CEO칼럼] 자연재해·사이버테러의 공통점 2011.08.17 우리나라에 3∙4 디도스 대란이 있고 나서 일본 유력 신문사의 요청으로 도쿄에서 인터뷰에 응한 적이 있다. 기자들은 사이버테러에 대응하는 한국의 민관합동체제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일본은 빈번하게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해서는 대응체제가 잘 돼 있지만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디도스와 해킹 사고가 적어서인지 사이버테러 방비는 부족해 보였다. 인터뷰를 마치고 공항으로 가는 리무진 버스를 기다리고 있는데 땅이 심하게 흔들렸다. 일본 동북부 지역에서 쓰나미 사태가 발생했기 때문이었다. 꼼짝없이 발이 묶여 호텔 로비에서 밤을 보내며 일본인들의 대응을 생생히 목격할 수 있었다. 지진이 날 때마다 정확하게 울리는 휴대폰 경보와 확성기를 통한 정보공유, 그리고 차분함을 유지하는 재난방송이 인상적이었다. 평.. 2020. 4. 23. 안철수연구소 판교 사옥 이주가 기대되는 이유 2011.08.16 콜롬보스가 1492년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자 많은 유럽인이 아메리카로 이동했다. 그리고 유럽으로부터 독립을 하고 모든 것을 기존과 다르게 하고 싶어했다. 그래서 미국은 많은 부분에서 유럽 대륙과 다른 방식을 채택했고 어떤 것은 혁신이 되기도 하고 어떤 것은 웃음거리가 되기도 했다. 시간이 지나 점차 안정이 되기 시작했고 드디어 지금의 모습에 이르렀다. 이러한 미국에 근대 들어 생겨난 개념 중에 용광로(Melting Pot) 이론이 있다. 다양한 국가와 인종의 사람들이 미국에 와서 하나로 합쳐진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새로 이민을 오는 사람들도 녹아들기를 바랬다. 그러나 그것은 이론적일 뿐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게다가 새로이 오는 사람들에게 이 철학은 많은 괴로움을 주기.. 2020. 4. 23. 이전 1 ··· 289 290 291 292 293 294 295 ··· 7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