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철수630

2012.11.23 안랩 사칭 악성 메일 주의보 - CERT 사칭, MS 보안 업데이트로 위장한 악성 다운로드 링크 유도 - V3로 진단..메일 바로 삭제, 백신 업데이트 필수 글로벌 보안 기업 안랩(구 안철수 연구소, 대표 김홍선, www.ahnlab.com)은 최근 자사 보안관제(원격) 담당 팀인 CERT의 이름을 사칭한 악성 메일이 지속적으로 유포되어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발견된 악성 메일은 ‘ms12-076 변종공격!’이라는 제목으로 발송되었으며, 안랩 CERT(원격 보안관제팀)의 메일 주소를 사칭했다. ‘최근 MS가 보안 패치를 배포한 MS12-076의 변종이 발견되어 긴급 패치가 필요하다’는 내용과 함께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는 URL을 삽입했다. 발신지 IP는 중국으로 확인되었다. 다운로드 링크를 실행 시 업데이트 설치 과정 창을 사용.. 2020. 4. 12.
2012.11.16 [액티브X공약에 대한 안랩의 입장] [액티브X공약에 대한 안랩의 입장] 최근 언론 매체에 대선 후보의 공약 중 액티브X 폐지 공약 발표와 관련해 “안랩이 액티브X와 관련된 사업을 해오고 있다”는 표현에 대해 오해의 소지가 있어 안랩의 입장을 아래와 같이 설명 드립니다. 안랩은 액티브X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표현은 사실과 다르며, 이는 관련 기술에 대한 전문적 이해가 어려운 상태에서 짧게 표현을 하기 위해 나온 오류라고 생각합니다. 보안 기업은 기본적으로 모든 환경을 지원하는 솔루션을 준비하고 있어야 합니다. 안랩은 그 동안 인터넷 및 고객의 시스템 환경에 최대한 적합한 형태의 보안 솔루션을 제공해 오고 있었습니다. 안랩은 액티브X사용/미사용 환경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웹 접근성 보장을 위해 모든 사용자 환경에 대한 기술적 준비를 하고.. 2020. 4. 12.
2012.11.02 안랩, 문서 프로그램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경고 - 국내 대선, 연봉계약서, 국방문서 사칭 악성코드 연이어 발견 - 백신 업데이트, 의심 메일 첨부파일 실행 자제, 소프트웨어 보안패치 설치 등 사용자 주의 필요 글로벌 보안 기업 안랩(구 안철수연구소, 대표 김홍선, www.ahnlab.com)은 현재 진행 중인국내 대선 이슈와 연봉협상, 국방 문서 등 최근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이슈를 가장한 문서파일 형태로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다며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안랩의 시큐리티대응센터(ASEC)은 올 10월 들어 시기에 맞는 다양한 이슈를 가장한 악성문서가 연달아 발견 됐다고 발표했다. 악성코드 제작자는 공통적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 만한 이슈로 악성코드가 포함된 문서파일을 열도록 유도하고, 문서 편집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이용해 악성코드 배포를.. 2020. 4. 12.
2012.10.31 2010년 WBS(World Best SW) 선정 관련 모 방송 보도에 대한 안랩의 입장을 밝힙니다. 2010년 WBS(World Best SW)선정 관련 모 방송 보도에 대한 안랩의 입장을 밝힙니다. 안랩은 모 방송에서 보도된 내용이 정확한 사실 관계를 확인하지 않은 내용이라고 판단해안랩의 고객과 이해관계자 분들께 정확한 사실을 말씀 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어제(10.30) 모 방송 뉴스에 나온 “WBS 사업자 선정 한 달 전인 2010년 7월 28일 안철수후보에게 계획이 미리 전달되어 특혜가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는 보도내용과 관련 기사는 사실이 아닙니다. 지식경제부가 2010년 7월 7일에 이미 더욱 자세한 내용(7월 28일 자료내용을 포함한)을12페이지 분량의 보도자료로 배포한 바 있기 때문입니다. 이미 더 소상한 내용이 지식경제부의 보도자료로 배포되었고 이를 다룬 인터넷 기사만도 20개를.. 2020.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