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818 [3분기 보안 이슈] 개인과 기업 활동 동시에 위협하는 공격 기승 2007.10.08 안철수연구소가 올해 3분기 보안 동향을 분석해 발표했습니다. 눈여겨볼 만한 특징은 DDoS 공격, 웹사이트 해킹 등 개인은 물론 기업 비즈니스에도 심각한 타격을 주는 공격이 특히 기승을 부렸다는 점입니다. 또한 한번 설치된 스파이웨어가 다른 스파이웨어나 허위 안티스파이웨어를 줄줄이 설치하거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허위 안티스파이웨어가 배포돼 2중의 피해를 유발한 점, 메신저를 통한 악성코드 유포와 윈도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이슈들로 나타났습니다. 더보기 네트워크 마비시키는 DDoS 공격 기승 최근 트로이목마를 이용해 게임 업체 웹사이트를 DDoS 공격해 서비스를 못 하게 한 후 협박해 돈을 갈취한 일당이 구속된 일이 있다. 트래픽의 과부하를 유발해 .. 2020. 4. 3. 악성코드의 다양한 침투 방법들과 예방법 2007.10.04 1988년 국내 PC 사용자들에게 많은 피해입혔던 브레인 바이러스와 이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퇴치한 V3가 탄생한 지 올해로 19년. 바이러스로 시작된 악성코드는 웜, 트로이목마, 애드웨어, 스파이웨어까지 다양화되었으며 많은 경제적인 피해를 입히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악성코드가 감염되는 경로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초기 바이러스는 플로피 디스크라는 이동식 저장장치를 통해 확산되었다. 이후 이메일, 다운로드, 공유폴더, 메신저, 웹, UCC 등 다양한 매개체를 이용해 전파되고 있다. 즉, PC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웹의 변화 발전에 따라 악성코드도 함께 진화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행동 패턴이나 호기심을 이용한 사회공학기법을 기반으로 점차 .. 2020. 4. 3. USB 등 이동식 저장장치를 이용한 악성코드 전파 우려 2007.08.29 우리가 자주 사용하고 있는 이동식 저장 장치가 악성코드의 위험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안철수연구소 ASEC은 최근 Autorun.inf 파일을 이용하여 해당 드라이브를 열려고 시도하면 연결된 악성파일이 자동 실행되어 이동식 디스크를 포함한 모든 디스크드라이브를 감염시키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안철수연구소 고객상담 센터에는 Autorun.inf 파일로 인한 고객들의 문의 사항이 다수 접수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고객들은 Autorun.inf 파일을 삭제해도 계속 재생성되는 점과 삭제 후 바탕화면에서 내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 드라이브에 접근할 수 없다는 점을 문의하고 있는데요, 이처럼 Autorun.inf을 생성해 피해를 입히는 대표적인 악성코드는 VBS/Solow. .. 2020. 4. 3. 안철수연구소가 전하는 안전한 메신저 이용 수칙 2007.08.08 연초부터 메신저를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가 자주 출현하고 있습니다. ‘Look at this: http://1960.basu????dewa.com/5/496’ 등 특정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스트레이션.젠 웜을 필두로 photo album.zip 파일과 photos.zip 파일을 전송하는 셰도봇(ShadoBot) 웜 변종이 잇달아 발견됐었죠. 해당 인터넷 주소를 보내고, 그 주소를 클릭하면 누가 대화 상대에서 본인을 차단하거나 삭제했는지 알 수 있다며 메신저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하는, 광고성 메시지까지 등장했습니다. 메신저의 보안위협은 악성코드, 취약점, 스팸, 피싱등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현재 악성코드에 의한 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메신저.. 2020. 4. 2. 이전 1 ··· 150 151 152 153 154 155 156 ··· 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