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818 악성코드의 지능화, 국가별로 피해도 달라 2009.04.27 2009년 현재 세계적으로 하루에 약 2-3만개의 새로운 악성코드가 출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년이면 730만개 ~ 1,095만개가 되는 엄청난 수의 악성코드인데 이 악성코드가 모두 사용자들에게 위협이 될까? 특별히 위험 가능성이 높은 악성코드는 없을까? 이 글에서는 악성코드의 국지성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국지성 논쟁 1980년대 말 컴퓨터 바이러스가 처음 등장하면서 일부 바이러스는 세계로 퍼져나갔다. 이에 우리나라에도 다양한 국가에서 제작된 바이러스가 유입된다. 하지만, 바이러스 중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간 바이러스보다는 특정 지역에만 잠깐 퍼졌다가 사라졌거나 연구목적으로 작성되어 일반에 퍼지지 않은 악성코드들이 많았다. 90% 이상이 이런 샘플들로 흔히 동물원(In-the-.. 2020. 4. 7. SMS 메시지 도청 프로그램 제공 이메일 주의 2009.04.20 다른 사람의 SMS 메시지를 온라인으로 도청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메일로 위장하여 확산을 시도하는 웨일덱(Waledac)웜 변형이 4월 16일부터 해외의 일부 지역에서 피해를 입히고 있다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웨일덱(Waledac)웜 변형은 이메일로 전파되며 메일의 제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Are you sure in your partner's faithfulness? We will teach you to be the master of making love art Now, It's possible to read other people's SMS Are you ready to know the truth? Can your love life be re-ignited? D.. 2020. 4. 7. 애드웨어끼리 전쟁에서 PC를 보호하는 방법 2009.04.17 내 집 안방에서 모르는 이들이 서로 싸움을 벌이면서 방안의 가구와 집기들을 부숴버린다면 집 주인인 나는 어떤 기분이 들까? 최근 국내 애드웨어 간의 싸움으로 인해 애꿎은 사용자들이 피해를 입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물론 여기서의 싸움은 주먹이 오가는 싸움은 아니다. 국내 온라인 전자 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리워드 프로그램과 키워드 프로그램의 수익성이 좋아지자 많은 업체들이 서로 사용자의 PC에 설치되어 동작하고자 싸움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리워드/키워드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입력한 웹 사이트의 주소를 가로채어 자신의 제휴 마케팅 코드가 삽입된 다른 주소로 변경하고 변경된 주소를 해당 제휴 마케팅 사이트 또는 인터넷 쇼핑몰에 전달하는 식으로 동작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애드웨어 제작업체.. 2020. 4. 7. 안전한 웹서핑 위해 이것만은 꼭 확인하자 2009.04.06 오늘날 우리는 인터넷(Internet)으로 통칭되는 월드와이드웹(WWW)을 통해 내 방에서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을 수 있으며 원하는 업무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그로 인해 이전보다 더욱더 다양한 보안 위협을 접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리가 웹 서핑(Web Surfing) 시 마주 하게 되는 보안상 문제점은 크게 다음과 같다. - 웹 브라우저(Web Browser)의 보안 취약점으로 인한 악성코드의 실행 - 액티브엑스(ActiveX)를 통해 악성코드의 설치 및 실행 - 아이디와 패스워드 유출 (1) 웹 브라우저의 보안 취약점 먼저 웹 브라우저에 보안 취약점이 있을 경우 해당 취약점 코드가 삽입된 웹 사이트에 방문하는 것 만으로도 악성코드가 설치되고 동작한다. 따라서 무.. 2020. 4. 7. 이전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