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818 기초 보안 체크리스트- P2P 프로그램 안전 사용법 2009.08.21 기초 보안 체크리스트- P2P 프로그램 안전 사용법 2000년도부터 MP3라는 디지털 음원 파일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으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P2P(peer to peer)는 사용자들간에 다양한 데이터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편리함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로 인해 수 많은 P2P 공유 프로그램들이 나왔다. 하지만 편리함 이면에는 저작권 침해, 사생활 침해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났으며 악성코드를 배포하는 또 하나의 채널이 되고 있다. 따라서 P2P 공유 프로그램을 보다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해선 다소 번거롭지만 다음과 같이 알아둬야 할 사항들이 있다 - 공유폴더 및 공유파일 확인 많은 사용자들이 확인하지 않고 지나가는 부분이 공유폴더 및 공유 파일이다. 하지만 이를 확인하지 않고 무작정.. 2020. 4. 8. UPS 운송 메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발견 2009.08.12 8월 7일 17시경 한국과 해외 일부 지역에서 6월 24일 발견되었던 허위 UPS 운송 전자 메일로 위장한 악성코드가 다시 발견되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악성코드는 다음과 같은 전자 메일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UPSNR_1738627d.zip(27,554 바이트)가 첨부 되어 있습니다. 첨부되어 있는 zip 압축 파일을 압축을 풀면 다음 이지미와 같이 엑셀 아이콘 모양의 UPSNR_1738627d.exe(39,936 바이트) 파일이 생성 됩니다. 현재 ASEC에서 파악한 바로는 해당 전자 메일과 유사한 형태의 다른 변형들이 존재함으로 위와 같은 전자 메일을 수신할 경우에는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V3 제품군에서는 해당 악성코드와 일부 변형들을 다음과 같이 진단하고 있습니다. W.. 2020. 4. 8. 가짜백신 Home Antivirus 2010 주의하세요 2009.08.10 최근 PC 리부팅 증상을 보이는 가짜백신 Home Antivirus 2010이 유포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종전 등장했던 antivirus2009 , System Security 2010 시리즈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바탕화면을 변조하여 사용자의 불안감을 조장하는 기능이 없습니다. -. 윈도의 정상 시스템 파일인 ntfs.sys 파일을 변조하여 악성코드 설치에 활용합니다. 이 가짜백신에 감염이 되면 아래의 화면과 같이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우측 하단 트레이 아이콘에 허위 경고 창이 팝업으로 뜹니다. [Home Antivirus 2010에 감염되었을 때 화면] - 허위로 악성코드를 진단을 하며 치료를 위해 [Remove]를 클릭하거나 허위 경고 팝업 창을 클릭하면 결제 .. 2020. 4. 8. 기초 보안 체크리스트-이동식 디스크 관리 편 2009.08.07 이동식 디스크로 전파되는 Autorun 악성코드 예방하기 최근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USB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또는 디지털카메라, MP3 플레이어, PMP, 네비게이션 등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저장 매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런 메모리들은 손쉽게 컴퓨터 또는 디지털 기기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메모리는 컴퓨터에 연결하면 이동식 디스크로 설정이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동식 디스크에 데이터를 읽고 쓰려면 “내 컴퓨터”를 이용해 이동식 디스크를 클릭해서 들어가게 된다. 이때 해당 이동식 디스크의 루트(최상위) 폴더에 autorun.inf 파일이 존재한다면 그 파일을 먼저 실행하고 디스크를 열게 된다. 이런 점을 악용하여 악성코.. 2020. 4. 8. 이전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