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1173

변장의 달인 랜섬웨어를 주의하라 2011.09.20 안녕하세요. 안랩인입니다. 오늘은 동유럽과 러시아 등지에서 제작되는 것으로 알려진 랜섬웨어(Ransomware)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랜섬웨어는 주로 문서나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정상적인 사용을 방해하고, 그에 댓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형태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랜섬웨어는 악성코드 제작자에 의해 직접 제작되는 경우도 있으나 최근에는 다른 일반적인 악성코드와 동일하게 랜섬웨어 생성기에 의해 제작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지적인 한계를 벗어나 감염된 시스템의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확인하여 그에 맞는 언어로 표기하는 형태도 있어, 한국어 윈도우에서는 한국어로 표기하는 랜섬웨어도 발견된 사례가 있습니다. 9월 초에 발견된 랜섬웨어의 경우에는 특이하게 아래 이.. 2020. 4. 13.
전격 해부, 악성코드도 트랜스포머가 있다? 2011.09.14 안녕하세요. 안랩인입니다. 즐거운 추석 명절 되셨는지요 ^^ 귀향길에 차는 많이 막히지 않으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우리가 모두 송편을 먹으며 즐거워하고 있을 때도 악성코드는 쉬지 않고 우리들의 PC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는 사실! 명절정도는 쉬어줘도 좋은데 말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변화무쌍한 악성코드의 실체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악성코드의 변형은 현재진행형입니다. 악성코드 제작자들은 분석가들의 추적을 따돌리기 위해 각종 최신 수법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다형성(Polymorphic) 기법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제작하면 파일이 감염될 때마다 그 형태가 변하여 감염여부를 확인하기 힘듭니다. 다형성 기법을 이용한 바이러스가 바로 다형성 바이러스이며, 이러한 복.. 2020. 4. 13.
우리 회사에 적합한 망분리 솔루션 찾기~! 2011.09.07 안녕하세요. 안랩인입니다. 오늘날 인터넷을 통한 편리한 업무 환경 조성을 위해 힘써 왔던 우리 기업들은 예상하지 못한 심각한 보안 위협에 직면해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연결된 내부망은 외부로부터의 악성코드 공격을 받고 있으며, 내부로부터는 중요 기밀 자료 유출과 같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기존 보안 솔루션의 도입/운영만으로는 더 이상 내/외부의 공격으로부터 안심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이에 업무망과 인터넷망을 분리하여 인터넷을 통한 악성코드 침입 및 공격이 있더라도 업무 영역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망분리 솔루션이 보안의 새로운 해결책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망분리의 필요성 및 다양한 망분리 방식에 대해 기술하고, 가장 효율적인 망분리 방식에 대한 제언, 그리고 망.. 2020. 4. 13.
숫자로 알아보는 7월 악성코드 통계 2011.09.06 2011년 7월 악성코드 통계 안녕하세요. 안랩인입니다. 오늘은 2011년 7월 악성코드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통계 수치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한동안 런(Autorun)류의 악성코드 감염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나 지난 7월에는 JS/Agent 감염 보고가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났습니다. 지난 2011년 7월 감염이 보고된 악성코드 현황을 살펴보면 [표 1]과 같습니다. [표 1] 악성코드 감염보고 Top 2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2011년 7월의 악성코드 감염 보고는 JS/Agen가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Textimage/Autorun과 Html/Agent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하였습니다. 신규로 Top 20에 진입한 악성코드는 총 11건입니다. 2011년 .. 2020.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