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863 안철수연구소, 개인정보 예방 위한 정보보호 안전수칙 10계명 발표 2008.04.21 최근 돈벌이를 노린 범죄 집단이 온라인 게임 / 뱅킹 / 쇼핑몰 등을 해킹해 사용자의 개인정보 DB를 빼내거나 사용자 몰래 PC에 설치돼 개인정보를 빼내가는 악성코드나 스파이웨어를 유포하는 사례, 피싱(Phishing) 사이트나 보이스 피싱을 이용해 정보를 유출하는 일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안전한 인터넷 거래를 위해 각 업체들의 보안 강화는 물론 개인 사용자들도 보안 수칙을 준수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따라서 여러분들에게 안철수연구소는 개인, 기업, 정부 등 각 주요 부문에 대한 정보보호 안전수칙 10계명을 발표해 보안을 생활화하는 습관을 길러, 제 2의 피해가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 [개인] 1.. 2020. 4. 4. 옥션 개인정보 유출 확인 페이지 2008.04.17 오늘 옥션의 개인정보 유출 관련 수사 발표가 있었습니다. 유출된 개인정보가 1천만개가 넘는다고 조사되었는데요, 여러분들도 아래 페이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member.auction.co.kr/Announce/view.aspx?no=2184 고객정보를 다루는 기업이나 공공기관들은 다시는 이런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한 인프라구축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겠습니다. 2020. 4. 4. HP USB 사용자 악성코드 주의 2008.04.11 HP의 신제품 USB 드라이브에서 악성코드가 담긴채 출시가 되어, HP USB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 보기 : ZDNet 256KB 및 1G USB 모델 둘 다에서 발견된 이 웜은 ‘W32.Fakerecy’과 ‘W32.SillyFDC’로 V3와 빛자루에서 진단 및 치료 가능합니다. 2020. 4. 4. 스파이웨어 감염의 복고 바람... 크랙 및 불법 SW 다운 주의 2008.04.11 최근 스파이웨어의 감염경로가 예전으로 돌아가 크랙 프로그램이나 시리얼번호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에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을 올려놓고 불법적으로 크랙이나 시리얼번호를 얻으려고 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PC를 감염시키고 있다. 이는 인터넷이 활성화 되던 초기에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수법을 활용하여 가짜 크랙 사이트를 구축하여 스파이웨어를 유포시키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아래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에 올려있는 모든 파일들이 파일명은 다르지만 하나의 동일한 파일이라는 점도 특이하다. [그림 1] 허위 크랙 다운로드 웹사이트 여기서 받아진 파일은 RAR SFX 형태로 압축된 파일로 압축이 풀려 실행되는데, 이는 TFakeDLL 툴을 이용하여 악성 모듈을 리소스로 가지고 있다가 윈도.. 2020. 4. 4. 이전 1 ··· 518 519 520 521 522 523 524 ··· 7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