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47

인터넷 뱅킹의 보안 위협과 대책(1)_진화하는 인터넷 뱅킹 사기 수법 2008.04.01 인터넷 뱅킹 보안을 위협하는 금융사기 수법이 지능화하면서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여러 은행사이트에서는 인터넷 뱅킹 보안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인터넷 뱅킹 이용자를 불안에 떨게 하는 각종 금융사기 수법을 알아보고, 은행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무심코 내려받던 인터넷 뱅킹 보안 프로그램을 제대로 알고 설치하자는 의미에서 각종 은행의 인터넷 뱅킹 보안 프로그램과 안철수연구소의 온라인 통합보한 서비스인 'AOS(AhnLab Online Security)'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 뱅킹 사고 8배 증가 한국은행의 ‘국내 인터넷 뱅킹 서비스 이용 현황’에 따르면 2007년도 인터넷 뱅킹 이용 건수가 하루 평균 약 1800만 건으로 전년도에 비해 40%나 증가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에 따.. 2020. 4. 4.
베이글 바이러스의 부활? 2008.03.27 베이글이 다시 부활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강력한 전파력을 가졌던 베이글이, 자기 자신을 보호하고 은폐를 할 수 있는 막강한 기능을 가지고 최근들어 발견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베이글 트로이목마는 무료백신 등으로 검사를 하면, 몇가지가 진단되는데, 실제로는 치료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치료 후 재부팅 하라고 나오지만 여전히 다시 검사를 해 보면 삭제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안철수연구소는 지난주부터 새롭게 변종이 되어 나타나는 베이글 트로이목마에 대해 진단을 하고 있습니다. V3와 빛자루에서 진단 및 치료가능하며, 진단명은 Win-Trojan/Bagle.XXX, Win32/Bagle.worm.XXX입니다. '보이는 것만 믿으세요'라는 광고가 있습니다. 그러나 요즘 출현하고 있는 악성.. 2020. 4. 4.
동영상 보기 위해 다운로드한 코덱에 악성코드 즐롭(Win-Spyware/Zlob) 주의 2008.03.19 ASEC리포트 2월호에 따르면, 2006년 6월 국내에서 처음 신고된 스파이웨어 즐롭(Win-Spyware/Zlob)은 1년 6개월이 지난 지금도 계속해서 국내 감염이 신고되고 있다고 합니다. 즐롭은 정상적인 코덱 을 가장해서 사용자의 PC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데이터를 외부로 유출시키거나 허위백신을 설치하고 광고를 노출시키는 스파이웨어입니다. 즐롭의 감염경로 배포자는 먼저 정상적으로 보이는 몇 개의 배포사이트를 준비한 후 무작위로 메일을 발송하거나, 로봇을 이용해 여러 게시판에 배포사이트로 유인하는 내용의 글을 등록합니다. 위 그림의 우측경로에서는 검색엔진을 통해 배포 사이트로 접근하는 경우로 코덱이 필요한 PC사용자가 웹에서 관련 검색을 하는 경우 로봇에 의해 많은 웹사이트에 등록된.. 2020. 4. 4.
공공기관, 4월부터 보안 USB 의무사용.. 보안 USB에 대해 알아봅시다 2008.03.17 1. 보안 USB란? 수 많은 후보들 중 보안USB가 화제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휴대용 메모리 스틱은 속도가 빠르고 대용량이며 사용하기 간단하면서도 작은 크기로 휴대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최근 가장 보편적인 휴대용 저장 장치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내부 기밀자료의 외부유출의 매체로 악용되는 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국가정보원은 지난 해(2007) 초, 국가와 공공기관의 기밀 유출 방지를 위해 보안USB사용에 관한 ‘USB메모리 등 보조기억매체 보안관리 지침’을 발표했습니다. 1년간 유예기간이 끝나는 올해 4월부터는 각급 공공기관들은 보안USB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만 합니다. 국정원에서 정의한 보안USB의 필수기능 네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사용자 식별•인증.. 2020.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