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892 안철수연구소 판교 사옥 이주가 기대되는 이유 2011.08.16 콜롬보스가 1492년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자 많은 유럽인이 아메리카로 이동했다. 그리고 유럽으로부터 독립을 하고 모든 것을 기존과 다르게 하고 싶어했다. 그래서 미국은 많은 부분에서 유럽 대륙과 다른 방식을 채택했고 어떤 것은 혁신이 되기도 하고 어떤 것은 웃음거리가 되기도 했다. 시간이 지나 점차 안정이 되기 시작했고 드디어 지금의 모습에 이르렀다. 이러한 미국에 근대 들어 생겨난 개념 중에 용광로(Melting Pot) 이론이 있다. 다양한 국가와 인종의 사람들이 미국에 와서 하나로 합쳐진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새로 이민을 오는 사람들도 녹아들기를 바랬다. 그러나 그것은 이론적일 뿐 불가능한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게다가 새로이 오는 사람들에게 이 철학은 많은 괴로움을 주기.. 2020. 4. 23. [CEO칼럼] 총론만 늘어놓는 비전문가의 함정 2011.08.09 [사진. 김홍선 안철수연구소 대표] 지난해 개최된 한 콘퍼런스에서 겪은 일이다. 필자는 이 콘퍼런스의 기조 연설자로 초대됐다. 기조 연설은 행사의 하이라이트다. 그래서 청중에게 유익한 메시지가 되도록 정성을 다해 발표를 준비했다. 당일 일찌감치 도착해서 기다리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예정된 시각에 행사가 시작되지 않았다. 이유를 알고 보니 축사를 하기로 한 어느 정치인이 도착하지 않아서였다. 그분은 15분이나 늦게 나타났다. 그분이 할 5분 정도의 축사를 듣기 위해 참석자 수백 명이 무작정 기다려야만 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주최 측은 필자에게 발표 시간을 반으로 줄여달라고 했다. 모 정치인이 시간을 지키지 않은 파장이 필자의 발표에까지 영향을 미친 것이다. 30분 길이로 준.. 2020. 4. 23. [CEO칼럼] 잡스·임재범에 열광하는 이유 2011.07.05 치열한 경쟁 속에 사는 현대인들 감동 담긴 훈훈한 스토리에 공감 소통·친화력 강조하는 SNS처럼 IT제품 ‘스토리텔링’ 담아야 성공 6월의 마지막 토요일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 폭우가 쏟아지는 가운데 1만여 명의 관객이 한 가수의 노래를 듣기 위해 이곳을 찾았다. 주인공은 유명 아이돌 그룹도, 한류 스타도 아닌 내년이면 쉰 살이 되는 록 가수 임재범이다. 개인적인 고뇌와 방황으로 대중에게 잊혀졌던 임재범은 ‘나는 가수다’라는 TV 프로그램을 통해 단번에 재기했다. 오랜 침묵을 깨고 다시 등장한 것은 그가 노래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한 가족 때문이었다. 이런 스토리가 혼신을 다한 그의 열정과 음악의 진정성에 상승효과를 일으켜 큰 감동을 주었다. 콘서트 현장은 대학생부터 중년 부부까지 다양.. 2020. 4. 23. 안철수가 직원들에게 주식 무상 제공한 이유 2011.06.30 세상에서 가장 진실한 사랑 고백 "여러분 사랑합니다." 2000년 10월 13일, 안철수연구소의 전 직원이 모인 자리였다. 당시 안철수 사장(현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는 전혀 예상치 못했던 말을 슬그머니 꺼냈다. 순간, 직원들은 뜻밖의 말에 잠시 할 말을 잊었다. 더러는 잘못 들은 것이 아닌가 해서 주변을 두리번거리기도 했다. 그 무렵 삼성동 삼화빌딩에 위치했던 안철수연구소는 120여명을 수용할 만한 공간이 없었다. 그래서 전 직원이 함께 모일 때 마다 근처 다른 회사의 대회의실을 빌려 쓰곤 했다. 그 날도 부근 다른 대회의실에 전 직원이 모여 있었다. 사랑하는 여러분께 고합니다 공교롭게도, 이 날은 13일의 금요일이었다. 식순이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단상에 오른 안철수 사장이 .. 2020. 4. 23. 이전 1 ··· 290 291 292 293 294 295 296 ··· 7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