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킹38

2015.04.29 안랩, 가짜 구글 플레이 페이지까지 만든 '택배 사칭' 스미싱 주의 당부 - 택배 반송 사칭 문자 전송, URL 클릭 시 가짜 구글 플레이 페이지로 연결돼 악성 앱 다운로드 시도 - 가짜 설치 페이지 화면이 실제 앱 설치 화면 구성과 유사하게 제작돼 사용자가 의심 어려워 - 메시지 내 URL 실행 자제 등 기본 보안 수칙 생활화 필요 진화된 택배 앱 사칭 스미싱 주의하세요! 스미싱 문구의 단골 소재인 ‘택배 사칭’이 이번에는 정교한 가짜 공식마켓 페이지를 만들어 사용자를 속이는 형태로 진화했다.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최근 매우 정교하게 제작된 가짜 구글 플레이 페이지로 접속을 유도해, 실제 택배 관련 앱을 사칭한 악성 앱 설치를 시도하는 스미싱 사례가 발견되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해당 스미싱은 “반품 요청하신 상품이 금일중 회수예정.. 2020. 4. 23.
2015.04.13 안랩, ‘지능형 보안위협 대응 필요하나 도입은 미진’ 안랩, 한국IDG와 국내 ‘지능형 위협 대응 솔루션 도입 현황’ 설문 결과발표 - 지능형 보안위협에 대해 네트워크에서 엔드포인트까지 ‘광범위한 대응’ 필요 - ‘엔드포인트 대응’에서는 최초감염 방지 위해 ‘의심파일 선 차단’ 중요하게 생각 - 지능형 대응 솔루션 도입/운영은 아직 미진 -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에 맞는 솔루션 도입과 적절한 활용 필요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의 설문 조사 결과, 국내 기업의 지능형 위협 대응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은 높지만 솔루션 도입 등 실행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랩은 한국 IDG와 공동으로 지난 2월 26일부터 3월 27일까지 국내 IT 기업과 금융, 서비스업 등 다양한 산업군의 IT/비IT 담당자 444명을 대상으로 ‘지능형 위협(이하 AP.. 2020. 4. 22.
2014.12.30 안랩, 다시 보는 ‘2014 보안 위협 트렌드 Top 5’ 발표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 은 2014년 한해 동안 발생한 보안 위협의 주요 흐름을 분석해 ‘2014년 5대 보안 위협’ 이슈를 발표했다. 올 한 해 주요 보안 이슈는 ▲스마트폰으로 확대되는 보안 위협 ▲인터넷 뱅킹을 노린 파밍 악성코드의 진화 ▲공격에 사용하는 경로의 다양화 ▲POS(Point-of-Sales) 시스템 해킹 증가 ▲다수의 오픈 소스 취약점 위협 등장 등이다. 1. 스마트폰으로 확대되는 보안 위협 올해에는 PC에서 자주 등장한 보안위협이 스마트폰 환경으로 옮겨가는 것과 동시에, 모바일 환경에 특화된 보안위협이 등장하는 등 스마트폰에 대한 보안위협이 확대되었다. 먼저 랜섬웨어(ransomeware)가 PC에 이어 스마트폰으로까지 확대됐다. 사용자의 데이터를 볼모로 금전.. 2020. 4. 21.
보안회사 연구원이 하루종일 게임하는 이유 2009.02.13 "하루종일 게임만 하는 직원이 있어요" 어느 날, A모 팀장과 식사를 함께 하던 신입 연수생 K모 직원은 조금 불만인 표정으로 이야기를 꺼냈습니다. "어느 부서, 누구인지 아세요?" A 팀장이 질문에 K 직원은 계속 이야기를 했습니다. "10층 구석에 있는 팀인데 지나가다 보면 매일 게임만 하는 거예요. 우리 팀은 하루 종일 잠도 못자고 바이러스 잡느라고 전쟁인데 저 팀은 게임하고 놀고 있는 것 같아요." K 직원의 이야기를 다 듣고 난, A모 팀장이 미소를 보이며 답변을 했습니다. "그러니까, 그 팀은 게임보안팀이라고 해요. 온라임게임을 해킹하는 공격으로부터 방어를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지요. 게임이나 게임 해킹툴을 알아야 해킹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연구개발을 할 수 있으니까 게임.. 2020.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