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싱 메일6

2023.07.17 안랩, 주요 통계로 보는 ‘2023년 상반기 보안위협 동향’ 발표 안랩, 주요 통계로 보는 ‘2023년 상반기 보안위협 동향’ 발표 - 악성코드 종류: 추가 공격 수행을 위한 ‘다운로더’와 ‘백도어’ 성행 - 피싱 메일 키워드: 사용자 호기심 자극하는 ‘주문∙배송’, ‘결제∙구매’, ‘공지∙알림’ 카테고리 순 - 업종별 공격탐지: 업종 간 편차 낮은 가운데 ‘게임개발’, ‘방송’, ‘교육’ 분야가 순위권 안랩(대표 강석균, www.ahnlab.com )이 ‘2023년 상반기(1월~6월) 보안위협 동향’을 발표했다. 안랩은 ▲ASEC(안랩시큐리티대응센터)이 수집한 악성코드를 자사 악성코드 동적분석 시스템 ‘RAPIT’을 이용해 도출한 ‘악성코드 종류별 통계’ ▲‘RAPIT’ 및 자체 구축 메일 허니팟(*)‘을 활용한 ‘피싱 메일 키워드 통계’ ▲안랩 침해대응(CERT, .. 2023. 7. 17.
2023.05.17 안랩, ‘Meta’ 사칭해 기업 페이스북 계정 노리는 피싱 메일 주의 당부 안랩, ‘Meta’ 사칭해 기업 페이스북 계정 노리는 피싱 메일 주의 당부 - 페이스북을 운영하는 ‘Meta(舊 페이스북)’ 정책팀 사칭, ‘사용자의 비즈니스 계정이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 차단되었다’는 내용으로 피싱 메일 유포 - 사용자가 속아 메일 하단의 ‘Request Review(재검토 요청)’을 누르면 페이스북 계정 정보 탈취 시도하는 피싱 페이지로 연결 - ▲보낸사람 확인 및 의심스러운 메일의 첨부파일 및 URL 실행 금지 ▲사이트 별로 다른 계정 사용 및 비밀번호 주기적 변경 ▲V3 등 백신 프로그램 최신버전 유지 및 피싱 사이트 차단 기능 활성화 ▲사용 중인 프로그램(OS/인터넷 브라우저/오피스 SW 등)의 최신버전 유지 및 보안 패치 적용 등 기본 보안수칙 준수 필요 최근 기업들이 고객 소.. 2023.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