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랩1416

2014.04.10 안랩, V3 모바일 플러스 2.0 삭제 유도 악성 뱅킹앱 주의 당부 - 안랩의 ‘V3 모바일 플러스 2.0’의 진단창을 가장한 가짜 감염 메시지로 프로그램 제거 유도 - 정상 은행 앱을 삭제하고 가짜 은행 앱 설치해 사용자 금융정보 탈취 - 악성앱 설치시 스마트폰의 개인정보, 메시지 접근 등 과도한 사용자 권한 요구 - 메시지 내 URL 실행 금지, 스마트폰 주기적 검사, 알수없는 출처의 허용 금지, 스미싱 탐색 무료 앱 설치 등 사용자 주의 필요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최근 안랩의 대표적 스마트폰용 뱅킹 보안 제품인 V3 모바일 플러스 2.0(보충설명 1)의 삭제를 유도하는 뱅쿤(Bankun)(보충설명 2)류의 악성 앱이 발견되어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이번에 발견된 악성 앱은 사용자가 은행 앱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동작하는 V3 모바일 플러.. 2020. 4. 19.
2014.03.24 안랩, “사회공학적 스미싱 진화” 주의 당부 -스미싱 악성코드 2014년 2월까지 1,500개 -2012년(29개) 대비 의 52배, 2013년 총 발견 개수(5,206개)의 29% -사용자 관심 유발하여 URL클릭 유도, 금융정보 탈취하기도 -메시지 내 URL 실행 자제,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허용 금지 설정, 스미싱 탐지 전용 앱 설치 등 필요 작년 한 해를 떠들썩하게 했던 스미싱[보충자료 1]이 수법을 바꿔가며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안랩[CEO 권치중, www.ahnlab.com]은 내부 집계 결과, 2014년 2월까지 스미싱 악성코드가 총 1,500개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는 2012년 한 해 동안 발견된 스미싱 악성코드[29개]의 52배, 2013년 총 발견 개수[5,206개]의 29%에 해당하는 것으로, 스미싱 악성코드는.. 2020. 4. 19.
2014.03.03 안랩, 허위 감염 메시지 이용한 모바일 악성코드 발견, 사용자 주의 당부 - 안랩의 ‘V3 모바일 플러스’의 악성코드 감염 알림 메시지를 사칭 - 스미싱 감염에 대한 불안감 이용해 스마트폰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및 다량의 금융정보 유출 시도 - 메시지 내 URL 실행 자제,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허용 금지 설정, 스미싱 탐지 전용 앱 설치 등 필요 - 확산 추세는 아니지만 금전 피해 발생 우려, 사용자 주의 필요 최근 스미싱 문자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진 것을 역이용해 가짜 감염 메시지로 사용자를 현혹시키는 모바일 악성코드가 등장했다. 안랩(CEO 권치중, www.ahnlab.com)은 최근 안랩의 금융거래 구간 보안 제품인 ‘V3 모바일 플러스’의 악성코드 감염 알림 메시지를 사칭하는 스미싱 악성코드가 등장했다며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V3 모바일 플러스는 ‘국내 .. 2020. 4. 19.
[안랩 보안 바로 알기 캠페인(Know the security)] 10회: 모바일 쇼핑 보안 바로 알기 - ‘모바일 쇼핑 애용자라면 ‘해커의 유혹’에 더 조심해야…’ 2014.07.02 보안 바로 알기 10회 모바일 쇼핑 보안 바로 알기 ‘모바일 쇼핑 애용자라면 ‘해커의 유혹’에 더 조심해야…’ 안랩(CEO 권치중, www.ahnlab.com)은 보안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전파를 통해 자신과 직장의 정보와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보안지식 공유 캠페인 ‘보안 바로 알기(Know the security)’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본 캠페인의 일환으로 안랩 공식 블로그 및 SNS를 통해 ▲‘백신 바로 알기’ ▲‘APT 바로알기’, ▲‘보안 종결론 바로 알기’, ▲‘위장 악성코드 바로 알기’, ▲‘인터넷뱅킹 보안위협 바로 알기’, ▲‘백신진화 바로 알기’, ▲‘스미싱 바로 알기’, ▲ ‘스피어피싱 바로 알기’, ▲‘개인정보보호 바로 알기’ 주제로 실생활에 유용한 다양한 보안지식을.. 2020.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