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1416 2015.04.29 안랩, 가짜 구글 플레이 페이지까지 만든 '택배 사칭' 스미싱 주의 당부 - 택배 반송 사칭 문자 전송, URL 클릭 시 가짜 구글 플레이 페이지로 연결돼 악성 앱 다운로드 시도 - 가짜 설치 페이지 화면이 실제 앱 설치 화면 구성과 유사하게 제작돼 사용자가 의심 어려워 - 메시지 내 URL 실행 자제 등 기본 보안 수칙 생활화 필요 진화된 택배 앱 사칭 스미싱 주의하세요! 스미싱 문구의 단골 소재인 ‘택배 사칭’이 이번에는 정교한 가짜 공식마켓 페이지를 만들어 사용자를 속이는 형태로 진화했다.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최근 매우 정교하게 제작된 가짜 구글 플레이 페이지로 접속을 유도해, 실제 택배 관련 앱을 사칭한 악성 앱 설치를 시도하는 스미싱 사례가 발견되어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해당 스미싱은 “반품 요청하신 상품이 금일중 회수예정.. 2020. 4. 23. [CEO 칼럼] SW 산업의 본질적 요소에 주목해야 한다 2011.03.02 “소프트웨어(SW)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인식부터 바뀌어야 하니까요.” 어느 외국인 투자가가 내게 한 말이다. SW 산업이란 단순히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문화•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수반되어야만 성장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한국의 수출 상품 중 정보기술(IT)이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늘고 있다. 가히 국가 성장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라 할 만하다. 그 중 SW의 비중은 극히 낮다. 게다가 지난해 불어닥친 애플발 스마트폰 열풍은 SW 산업의 파워를 충격적으로 깨닫게 했다. 그래서인지 요즘은 어디에서나 SW를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만시지탄(晩時之歎)이지만 환영할 만한 일이다. 허나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마련하기란 쉽지가 않다. 기술 개발, 교육 개혁, 투자 환경 개선 등의 방.. 2020. 4. 22. 좀비PC, 나는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 : 좀비PC 예방 방법 2011.01.07 어제 저녁, KBS에서 신년 정보보호 다큐멘터리 '좀비PC, 당신을 노린다'가 방송 된 후 좀비 PC와 그 예방법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가대표 보안 업체인 안철수연구소는 저희의 블로그를 비롯해 다양한 소통채널로 좀비 PC의 위험성과 예방법에 대해 말씀 드려 왔는데요, 어제 방송을 계기로 다시한번 이를 짚어 보겠습니다. 좀비 PC란? 먼저 가볍게 좀비라는 말에 대해 알아보면, 이는 우리가 영화에서 보아온 사람을 잡아먹으려고 쫓아오는 괴물의 이미지라기 보다는 예전 부두교에서 죽은자를 되살려(혹은 살아있는 자를 의지상실의 상태로 만들어) 주술사의 마음대로 부린다는 미신적 행위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좀비 PC도 이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하면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다시말해.. 2020. 4. 22. 보안, 이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2010.07.20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것이 있다. 기업이 성장, 발전하게 되면 사회적 영향력이 커지고 이에 따라 사회의 일정 기능을 담당하게 되어 어느 정도 그 사회에 대한 책임이 부과되는데 이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 정의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정의한 Caroll 교수에 의하면 이는 4가지로 구분된다고 한다.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이 바로 그것이다. 사회적 책임의 예를 들면 이렇다. 유한킴벌리는 목재를 원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업이다. 그러므로 이런 원료를 얻기 위해서는 수 많은 나무를 잘라야만 할 것이다. 나무를 많이 잘랐다고 해서 기업이 나무를 다시 심어야 한다는 법적 의무는 없다. 하지만 유한킴벌리는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라는 캠페인을 1.. 2020. 4. 22. 이전 1 ··· 152 153 154 155 156 157 158 ··· 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