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코드818 안랩,‘3.20 APT공격’관련 고객정보보호 후속조치 발표 2013.03.26 - 1차로 25일 APT 트레이스 스캔, 2차 주중 MBR 프로텍터 제공 - 이번 APT 공격 노출 여부 및 잔여 흔적 추적하는 ‘APT 트레이스 스캔’ 고객사 제공 - 비상대응체제 유지 및 고객 피해 최소화 노력 지속 글로벌 보안 기업 안랩(대표 김홍선, www.ahnlab.com)은 오늘, 지난 3월 20일 14시경 발생한 특정 방송사/금융사 대상 APT 공격에 대한 ‘고객정보보호 후속조치’를 발표했다. 이는 안랩이 공격발생 당일인 3월 20일 17시 49분에 긴급 V3 엔진 업데이트 및 18시 40분에 전용백신을 배포한 데 이은 후속조치이다. 안랩이 발표한 고객정보보호 후속조치는 △3.20 APT 공격 노출 여부 및 잔여 흔적을 추적하는 ‘APT 트레이스 스캔(APT Trace .. 2020. 4. 17. 안랩,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한 추가 감염 주의 당부 2013.03.25 안랩(대표 김홍선, www.ahnlab.com)은 25일 악성코드의 추가배포 징후를 포착하여 고객 및 개인 PC 사용자의 주의를 당부했다. 이번 악성코드의 추가 배포는 오늘 오전 10시 30분부터 시작되었고 기업은 물론이고 개인용 PC(불특정 일반인) 대상으로 유포되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안랩은 어제(24일) 오전 9시 경 변종을 발견하여 분석한 결과 1차 공격에 사용된 악성코드의 특징인 MBR(Master Boot Record) 파괴기능은 물론 C&C(Command & Control) 서버와 통신하는 백도어 설치기능이 추가되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3월 20일 방송사와 금융사의 전산망을 마비시킨 1차 공격은 내부 타이머로 공격시간대를 특정한 반면 이번 공격에서는 C&C(Comman.. 2020. 4. 17. 2013.11.05 KISA-네이버-안랩, 인터넷 익스플로러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확산 방지 공동대응 - 현재 심각한 피해 없어도 백신 미 설치나 업데이트 못한 PC가 늘어날 경우 감염 확산 우려 - PC 사용자는 전용백신 실행하고 IE브라우저 보안패치 적용 및 업데이트를 해야 안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포털(네이버), 보안업체(안랩)가 날로 심각해가는 악성코드 확산 방지를 위해 공동대응에 나선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포털(네이버), 보안업체(안랩) 등은 5일, 최근 인터넷 익스플로러(IE, Internet Explorer)의 취약점을 악용해 디도스(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분산 서비스 거부) 유발 및 계정 정보유출 등을 시도하는 악성코드가 확산됨에 따라 이용자 피해 방지를 위해 공동 대응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 악성코드는 지난 10월 발견된 .. 2020. 4. 17. 2013.10.27 안랩, "다양한 스미싱 사례 급증 주의" 당부 -단순사칭을 넘어 이전보다 교묘한 스미싱 문구로 스마트폰 사용자들 속기 쉬워 -기관/기업/단체 사칭은 물론이고 실명/주민번호 포함 문자까지 보내 의심하기 어려워 -메시지 내 URL 실행 자제,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허용 금지 설정, 스미싱 탐지 전용 앱 설치 등 필요 ‘돌잔치’, ‘청첩장’ 사칭을 넘어 더욱 교묘해진 형태로 스미싱이 진화하고 있다. 주민번호가 포함된 해외 IP 확인요청, 공공기관, 유명 외식업체, 통신사 등을 사칭한 다양한 스미싱(Smishing,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사기수법) 사례가 등장하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 최근 발견된 스미싱 문자는 명의 도용방지 서비스를 사칭한 해외 IP 확인요청이 주요 문자 내용이다. 해당 스미싱 문자에는 사용자의 이름/주민번호와 함께 ‘ooo.com.. 2020. 4. 17.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