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웨어529 동영상 무제한 볼수 있다고 속이며 결재유도하는 스파이웨어 주의 2008.02.01 동영상을 무제한으로 볼 수 있다고 속인 후 본인인증과정을 통해 유료 결제를 유도하는 스파이웨어가 나타나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망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내요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철수연구소 ASEC 리포트 최신호에 따르면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다운로더인 코애드웨어(Win-Downloader/KorAdware)에 의해 설치되는 숏컷(Win-Adware/Shortcut.SDabada)이 ‘무제한동영상’을 미끼로 무료를 가장해 유료 결제를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스파이웨어가 PC에 설치되면 컴퓨터 바탕화면이나 빠른실행, 프로그램 메뉴, 즐겨찾기 등에 ‘무제한동영상’이란 아이콘이 생겨난다[그림 1]. 이 아이콘을 클릭하면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선정적인 제목의 동영상 목.. 2020. 4. 3. 스파이웨어, ActiveX에서 다운로더를 이용한 번들로 설치된다 2007.12.13 안철수연구소 ASEC 리포트 11월에 따르면, 11월에 스파이웨어로 인한 피해가 지난 10월에 비해 50%이상 증가하였습니다. 그리고 스파이웨어의 배포 방식이 ActiveX 컨트롤을 이용한 방식에서 다운로더를 이용한 번들설치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 주목됩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림 1] 2007년 11월 스파이웨어 피해 Top 10 2007년 11월 전체 스파이웨어 피해신고 건수는 총 1535건으로 지난 10월의 999건에서 약 54% 증가하였으며, 지난 9월의 592건과 비교하면 약 260% 나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이렇게 11월에 스파이웨어 피해 신고가 급증한 원인은 국내에서 제작 배포되는 스파이웨어의 피해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 호에 이미 .. 2020. 4. 3. 스파이웨어에 의해 PC가 망가질수 있습니다. _Win-Adware/UcccPlayer 2007.11.23 어느 날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이 모두 똑같이 표시되거나, 갑자기 컴퓨터가 부팅되지 않는다면 당황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스파이웨어는 컴퓨터의 속도를 느리게 하고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광고를 출력하는 드러난 문제점과 함께 사용자 모르게 컴퓨터를 손상시킬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데요, 스파이웨어에 의해 손상된 컴퓨터를 원상태로 복구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중요한 데이터를 손실할 수도 있습니다. 지난 10월 18일 바탕화면 아이콘 확장자가 lnk로 변경되어있고, 모든 실행 가능한 파일이 열리지 않는다는 문의가 안철수연구소로 다수 접수되어 증상을 확인한 결과 Win-Adware/UcccPlayer 업데이트 파일이 동작하는 과정에 레지스트리 정보.. 2020. 4. 3. 다운로더형 스파이웨어 급증_하나만 설치해도 스파이웨어 와르르르르 2007.08.23 최근 일반 사용자들이 ActiveX 컨트롤 설치 시 보안경고창이 나타날 때마다 좀더 신중한 자세로 받아들이게 되자 스파이웨어 제작/배포 업체들은 ‘다운로더와 번들’이라는 다른 유포 방식으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어 사용자들의 주의가 요망됩니다. 실제로 안철수연구소 ASEC이 집계한 7월의 스파이웨어 피해 현황을 살펴보면 다운로더에 의한 피해 신고가 5월 122건, 6월 139건에서 7월 232건으로 급증했습니다. 기존 스파이웨어의 경우에는 동일한 스파이웨어나 그 변형만을 설치하는 업데이트 성격이 강했는데, 최근에 나타난 스파이웨어는 특정 웹 사이트에서 설치 목록과 다운로드 경로를 내려 받아 사용자의 시스템에 다수의 스파이웨어를 설치하는 것. 이러한 다운로더에 의해 설치된 경우, 스파이웨어.. 2020. 4. 3. 이전 1 ··· 95 96 97 98 99 100 101 ··· 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