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싱 방지 앱1 2013.10.27 안랩, "다양한 스미싱 사례 급증 주의" 당부 -단순사칭을 넘어 이전보다 교묘한 스미싱 문구로 스마트폰 사용자들 속기 쉬워 -기관/기업/단체 사칭은 물론이고 실명/주민번호 포함 문자까지 보내 의심하기 어려워 -메시지 내 URL 실행 자제, ‘알 수 없는 출처(소스)’의 허용 금지 설정, 스미싱 탐지 전용 앱 설치 등 필요 ‘돌잔치’, ‘청첩장’ 사칭을 넘어 더욱 교묘해진 형태로 스미싱이 진화하고 있다. 주민번호가 포함된 해외 IP 확인요청, 공공기관, 유명 외식업체, 통신사 등을 사칭한 다양한 스미싱(Smishing,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사기수법) 사례가 등장하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 최근 발견된 스미싱 문자는 명의 도용방지 서비스를 사칭한 해외 IP 확인요청이 주요 문자 내용이다. 해당 스미싱 문자에는 사용자의 이름/주민번호와 함께 ‘ooo.com.. 2020. 4.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