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2

[안철수연구소 ASEC리포트] PDF Reader 프로그램의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과 병원에서의 악성코드 감염 2008.12.17 지난 10월 MS08-067 서버 서비스 취약점이 공개된 후, 이를 악용한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원격에서 공격이 가능한 유형의 취약점은 악성코드에서 취약한 시스템을 찾는데 애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유형에는 대표적으로 DCOM, LSASS 취약점 등이 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응책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윈도우 시스템에 보안업데이트를 철저하게 하는 것이다. 방화벽, 안티바이러스 제품과 같은 보안제품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주기적인 보안 업데이트, 강력한 패스워드 사용, 공유폴더 사용하지 않기 등의 기본적인 수칙만 지켜준다면 보다 안전한 인터넷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더불어, MS 관련 취약점뿐만 아니라 시스템에 설치된 다른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은 없는지도 살펴보아야 한다. 이.. 2020. 4. 6.
2010.04.21 안철수연구소, 클라우드 보안으로 중소 병의원 의료정보보호 앞장 안철수연구소와 헬스케어 솔루션 전문기업인 유비케어가 중소의료업계의 정보보안을 위해 크라우드 보안 서비스를 활용해 협력합니다. 글로벌 통합보안 기업 안철수연구소는 3월 24일부터 6월 23일까지 3개월간 유비케어의 전국 12,000여 병의원 고객을 대상으로 중소기업용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인 V3 MSS(AhnLab V3 Managed Security Service, www.v3mss.co.kr)의 라이선스 2개 구매 시, 1개의 라이선스를 추가로 증정합니다. 'V3 MSS'는 중소기업 전용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로, 1개의 라이선스로 개별PC 통합보안 프로그램인 ‘V3 MSS 데스크톱’과 전사 보안 관리 툴인 ‘V3 MSS 시큐리티센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V3 MSS를 이용하면 ▲고가의 보안장비 구축을.. 2020. 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