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847 인터넷 뱅킹 위협 및 보안 프로그램의 종류 2008.08.27 인터넷 뱅킹을 사용하려면 보안프로그램을 필수로 설치를 해야 한다. 2~3년 전까지는 보안프로그램 설치를 안 해도 인터넷 뱅킹을 사용할 수 있었던 거 같은데, 어느새 필수요소가 되어버렸다. 그래도 뱅킹 페이지를 들어갈 때마다 작동을 해서 화면에 뜨고, 페이지 뜨는 속도가 늦는 경우도 있고 하다 보니 귀찮은 생각도 든다. 인터넷 뱅킹 보안프로그램 개발자인 본인도 귀찮아서 종종 꺼버리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많은 사람들이 자칫 해킹을 당해서 내 계좌의 돈이 사라지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할 것이다. 2007년도 전자신문사가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인터넷 뱅킹의 단점을 ‘해킹 등에 대한 불안감’을 1위를 꼽기도 했다. 무려 56%이였었다. 심지어 인터넷 뱅킹을 사용하지 않고 은행 업무.. 2020. 4. 5. 사이트가드에 포착된 악성코드 배포 중고차 사이트 2008.08.22 중고차 관련 검색을 하던 도중, 악성코드를 배포중인 사이트가 '사이트가드'에 포착됐습니다. 현재 해당사이트는 '비즈사이트'로 등록이 되어 있어서, 백신이나 사이트가드를 설치하지 않으신 분들은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사이트가드 설치하러 가기[클릭] 2020. 4. 5. [ASEC리포트 7월호]스파이웨어 유포, 국산은 주춤 해외는 증가 2008.08.12 2008년 들어 국내 샘플 접수는 점차 감소하고 국외 샘플 접수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 접수된 해외 샘플 중 허위 안티-스파이웨어인 안티바이러스2008(Win-Adware/Rogue.AntiVirusXP20008)의 경우 여러 감염경로를 가지고 있다. 그 중 젤라틴 웜(Win32/Zhelatin.worm)을 이용하여 악의적인 웹 페이지 경로를 통하여 배포하고 있어 그 피해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스파이웨어 유포 방식과 피해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다양한 경로를 아래 [그림 1]과 같이 종합적으로 도식화하였다 [그림 1] 악성코드 유포 경로 1. 악의적인 웹 페이지 게시 악성코드 배포자는 정상적인 웹사이트를 해킹하여 정상적인 웹 페이지를 조작하거나, 악.. 2020. 4. 5. [ASEC리포트 7월호]오픈오피스 취약점 2008.08.12 "OpenOffice.org"(이하 오픈 오피스)는 줄여서 OOo, OO.o 등으로도 불리며 http://www.openoffice.org에서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오피스 프로그램이다. 현재 국내에서 오픈오피스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S오피스나 한글과컴퓨터사의 한글과컴퓨터 오피스에 비해 널리 사용되지는 않고 있지만 무료라는 점,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97-2003 포맷을 지원한다는 장점과 데이터 교환을 위해 고유 파일 포맷으로 ISO 표준인 오픈도큐먼트 포맷(ODF)를 지원 하는 등의 여러가지 이유로 조금씩 사용비중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런 오픈오피스도 명성을 쫓는 악성코드 제작자들을 피해가기는 어려웠는지 2007년 5월 22일 보안업체와 외신을 통해 오픈오피스에서 활동하는 .. 2020. 4. 5. 이전 1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 7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