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66

2017.05.22 안랩 MDS, 미국 국가정보보증협회(NIAP)로부터 국제 CC인증 획득 - 국내 보안업체 최초, ‘안랩 MDS’의 제품 신뢰성 및 보안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 전세계 27개국에서 인정받는 성능을 바탕으로 APAC 지역 등 해외 전략시장 공략 박차 안랩( 대표 권치중, www.ahnlab.com )은 자사의 지능형 보안위협 대응 솔루션 ‘안랩 MDS(보충자료 참조)’가 미국 국가안보국(NSA, National Security Agency) 산하 국가정보보증협회(National Information Assurance Partnership, 이하 NIAP)로부터 CC(Common Criteria)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안랩은 국내 보안업체 최초로 NIAP로부터 CC인증을 획득했고, 이는 ‘안랩 MDS’의 성능과 안정성 및 보안성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다. 파이어아이.. 2020. 4. 28.
2017.05.19 안랩,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무료 보안 앱 ‘V3 모바일 시큐리티’ 인기몰이 - 5월 16일 기준 누적 다운로드 400만 돌파, 구글 플레이 인기 앱 순위 5위 등극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 )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무료 보안 앱 ‘V3 모바일 시큐리티(V3 Mobile Security, 보충자료 참고)’가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다운로드 URL: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ahnlab.v3mobilesecurity.soda ‘V3 모바일 시큐리티’는 5월 16일 기준 400만 건의 누적 다운로드(구글 플레이에는 100만 이후 500만 단위로 표시)와 평점 4.5점(5점 만점)을 기록하고, 국내 구글 플레이 전체 앱 중에서도 인기 순위 5위(도구 카테고리 1위)에 등극했다. 현재 구글 .. 2020. 4. 28.
2017.05.17 안랩, 이용자 상황별 랜섬웨어 대응 수칙 공개 - PC사용자, 스마트폰 사용자, 웹사이트 및 IT관리자 등 상황에 맞는 랜섬웨어 대응 수칙 공개 안녕하세요 안랩입니다. 최근 '워너 크립터(WannaCryptor, 일명 '워너크라이')' 랜섬웨어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랜섬웨어는 최초 발견 이후에도 다양한 변종으로 재등장 할 수 있어 지속적인 사용자 주의가 필요합니다. 2014년 국내 유입되어 2015년 대규모 확산됐던 크립토락커 랜섬웨어도 변종이 등장하며 피해를 양산한 바 있습니다. 이번 '워너 크립터' 랜섬웨어는 PC 운영체제(OS)의 취약점을 노린 공격으로 현재 스마트폰 사용자에게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과거 스마트폰 사용자를 노린 랜섬웨어도 발견된 사례가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에 안랩은 'PC사용자, 스마트.. 2020. 4. 28.
2017.05.16 안랩, ‘워너 크립터(WannaCryptor)’ 랜섬웨어 전용 예방 툴 제공 - 안랩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http://www.ahnlab.com/kr/site/support/notice/noticeView.do?boardSeq=50124728 ) 가능 - V3 사용고객이 아니더라도 다운받아 사용가능 - 워너크립터 랜섬웨어가 악용하는 보안 취약점 체크 및 감염 예방 기능 제공 - 예방조치 이후에도 변종 예방을 위해 백신 및 윈도우 최신 업데이트 필수 안랩(대표 권치중, www.ahnlab.com)은 최근 전세계적으로 피해를 발생시킨 '워너 크립터(WannaCryptor, 일명 '워너크라이')' 랜섬웨어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안랩 워너크립터 사전 예방 툴’을 무료로 제공한다. ‘안랩 워너크립터 사전 예방 툴’은 워너크립터 랜섬웨어가 악용하는 보안 취약점(MS17-010)이 .. 2020.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