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866 좀비PC 되지 않는 5가지 보안수칙 2009.05.22 좀비PC가 되었다는 것은 로봇 프로그램의 일종인 악성 봇(Bot)에 감염된 PC를 말한다. 악성 봇(Bot) 이란? 기존의 바이러스나 웜 등과는 구분이 되는 ‘Bot’은 로봇(RoBot)의 의미로, 해커 혹은 봇 유포자가 원격지에서 봇에 감염된 시스템을 조정할 수 있는 악성 프로그램이다. 그래서 악성 봇은 일반 PC를 해커가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만드는 로봇 프로그램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일단 현재 내PC에 어떤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지를 알아보는 방법이 있다. 윈도우 태스크바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작업관리자를 실행시키고 프로세스 탭 클릭해보면, 실행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내가 알지 못하는 프로그램이 PC자원(CPU, 메모리, …)을 과도하게 사용할.. 2020. 4. 7. 사례를 통해 살펴본 은행 가장 피싱메일 2009.05.19 인터넷의 편리함 속에 숨어들어온 위험, 피싱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피싱메일은 최근 발병한 인플루엔자 A(H1N1, 일명 돼지독감) 피싱메일(Swine Flu Phishing)과 같이 최근의 이슈 등을 이용하여 수신자의 관심을 끈다. 더불어 금융사기, 개인정보의 유출뿐만 아니라 악성코드의 실행에도 악용되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탑재하는 형식으로 변화 하고 있다. 피싱메일은 특정인을 겨냥하여 작성되기도 하지만 스팸메일처럼 무작위로 작성, 발송될 수 있다. 본인과 관련 없는 곳에서 발송된 메일인 경우 스팸메일로 인지하여 읽지 않을 수 있지만 자신의 정보와 일치하는 수신자라면 관심을 갖게 된다. [그림1: 개인정보 채집 또는 악성코드가 포함된 인플루엔자 A(H1A1 일명 돼지독감) 피싱.. 2020. 4. 7. 편리한 스마트폰, 위협이 될 수 있다 2009.05.15 예전에는 전화기를 집집마다 한 대씩 놓고 사용하였지만, 지금은 개인이 한 대씩 핸드폰을 가지고 다니면서 편리하게 이용하는 환경이 되었다. 방송통신위원회에서 2009년 2월말 기준으로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핸드폰 가입자 수는 45,988천명 수준으로 국민 1인당 1대 꼴로 사용되고 있다. 가구 수 만큼 보급되었던 집전화에 비하면, 이제는 개인을 각각 구분할 수 있는 코드로 핸드폰 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게다가 주민등록번호야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지 않고, 계약이나 행정적인 업무를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핸드폰번호는 연락하라면서 여기 저기 알려주고, 명함에 찍어서 건네주고, 다른 사람의 핸드폰에까지 꼭꼭 눌러서 저장해놓으니 굉장히 널리 알리는 번호라.. 2020. 4. 7. "바이러스 관련 가짜 경고" 발견, 주의하세요 2009.05.14 이메일로 인생은 아름다워(Life is Beautiful)라는 pps 파일을 받을 때, 열지 말고 곧바로 삭제하라고하는 바이러스 관련 가짜 경고가 유포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런 가짜 경고를 혹스(Hoax)라고 하는데,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바이러스나 트로이 목마 이름을 들먹이며 조심하라고 경고하거나 받은 편지를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에게 보내라는 ‘행운의 편지’식 메일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읽어 보세용~ 혹시나 메일로 Life is Beautiful" (인생은 아름다워) 라는 pps 그림을 받을때에는 여하한 경우라도 열지말고 곧바로 삭제하기 바랍니다. 이 정보는 Microsoft 와 Norton 에서 강력히 통보한 내용입니다. 만약 이파일을 열었다가는 "이.. 2020. 4. 7. 이전 1 ··· 479 480 481 482 483 484 485 ··· 7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