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utorun2

기초 보안 체크리스트-이동식 디스크 관리 편 2009.08.07 이동식 디스크로 전파되는 Autorun 악성코드 예방하기 최근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대부분 USB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 또는 디지털카메라, MP3 플레이어, PMP, 네비게이션 등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저장 매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런 메모리들은 손쉽게 컴퓨터 또는 디지털 기기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메모리는 컴퓨터에 연결하면 이동식 디스크로 설정이 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동식 디스크에 데이터를 읽고 쓰려면 “내 컴퓨터”를 이용해 이동식 디스크를 클릭해서 들어가게 된다. 이때 해당 이동식 디스크의 루트(최상위) 폴더에 autorun.inf 파일이 존재한다면 그 파일을 먼저 실행하고 디스크를 열게 된다. 이런 점을 악용하여 악성코.. 2020. 4. 8.
[안철수연구소 ASEC리포트]11월 국내 신종(변형) 악성코드 발견 피해 통계 2008.12.17 국내 신종(변형) 악성코드 발견 피해 통계 11월 한 달 동안 접수된 신종 (변형) 악성코드의 건수 및 유형은 [표 1]과 같다. [표 1] 2008년 최근 3개월 간 유형별 신종 (변형) 악성코드 발견 현황 지난 달에 이어서 신종 및 변형 악성코드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번 달은 전월 대비 27% 정도 증가하였다. 특히 트로이목마와 드롭퍼류가 크게 상승하였다. 또한 실행파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들도 증가 하였다. 트로이목마 유형은 전월 대비 29% 가량 증가하였고, 드롭퍼 유형은 52% 증가하였다. 특히 온라인 게임의 사용자 계정을 탈취하는 형태의 악성코드가 다시 증가를 하기 시작하여, 해당 유형의 악성코드의 트로이목마와 드롭퍼 유형이 전월대비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악.. 2020.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