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버범죄5

2024.12.15 안랩, 성남서초등학교 6학년 대상 코딩 교육 프로그램 '스마트 코드 크리에이터 교실' 성료 안랩, 성남서초등학교 6학년 대상 코딩 교육 프로그램 '스마트 코드 크리에이터 교실' 성료 -2024년 10월부터 12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코딩 교육 및 프로젝트 진행 -6학년 학생 대상 AI 기술 학습과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배양   안랩(대표 강석균, www.ahnlab.com )이 지난 13일 성남서초등학교 6학년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한 코딩 교육 프로그램 '스마트 코드 크리에이터 교실' 수업을 마무리했다고 15일 밝혔다.  '스마트 코드 크리에이터 교실'은 안랩과 초록우산, 에이스코드랩이 협력하여 초등학생들에게 코딩 기술과 문제 해결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2024년 10월 2일 첫 수업을 시작으로 2024년 12월 13일까지 총 .. 2024. 12. 16.
2024.07.08 안랩, 초등학교 사이버 안전 교육을 위한 ‘사이버 보안 교안’ 무료 배포 안랩의 보안 교안으로 “안전해서 더 자유로운 초등 생활!”안랩, 초등학교 사이버 안전 교육을 위한 ‘사이버 보안 교안’ 무료 배포- ‘사이버 보안 교안: 개인정보 해킹으로부터 살아남기’: ▲사이버 범죄 사례 및 보안 개념 소개 ▲학습 활동 ▲교사 참고용 지도안으로 구성, 교육과정 운영•계획, 재량 교육 등에 활용 가능- 안랩 공식 홈페이지( https://company.ahnlab.com/kr/contribution/teaching_plan.do )에서 다운로드, 최근 피해 연령이 낮아지고 있는 사이버 범죄에 대한 예방·대응 교육 활성화 기대      최근 몸캠 피싱, 계정 탈취, 인터넷 거래사기 등 사이버 범죄가 청소년 층까지 노리는 사례가 빈번한 가운데 안랩이 초등학생을 위한 보안 교육 자료를 제공한.. 2024. 7. 8.
보안사고를 바라보는 여섯 개의 시선 2011.02.14 보안사고, 지금은 모두가 노력해야할 때 2010년에도 많은 보안 사고가 있었고 올해도 줄어들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보통 언론을 통해 보안사고가 알려지게 되면 사람들은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식을 조금씩 다르게 생각하기 마련이다. 보안 제품 성능이 떨어져 발생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규제를 제대로 못하는 정부에 책임을 돌리는 사람도 있고 보안의식이 부족한 사용자들을 탓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어느 한쪽의 책임만 있을까? 그리고, 우리는 어떤 일을 해야 할까? 첫째, 보안 회사의 입장 많은 사람들이 보안은 보안 회사에서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은 보안 회사는 보안을 도와주는 도구를 만드는 회사이다. 과거 보안회사는 자사 제품만 사용하면 보안 문제를 잊어 버릴.. 2020. 4. 22.
정의의 여신 디케의 눈으로 본 악성코드 2010.01.04 악성코드는 1988년부터 본격적으로 세계적인 문제가 되었다. 당시 컴퓨터 보급으로 관련 범죄가 증가한 일부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에는 관련 법률이 없어 윤리적인 문제로 치부되었다. 하지만, 이후 여러 나라에서 악성코드와 관련된 법이 제정되었다. 국내 악성코드 관련 법률 및 다른 나라 현황에 대해 알아보자. 대한민국의 악성코드 관련 법률 악성코드와 해킹 등과 관련된 법률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사업법’, ‘정보통신기반보호법’, ‘통신비밀보호법’ 등 특별법에 사이버범죄에 관한 조항을 신설하여 법적 규제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중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대표적이며 1997년과 2001년에 시행된 개정 형법에서는.. 2020.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