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안랩, 사우디 정부 주최 사이버 보안 포럼 ‘GCF 2025’ 참가해 글로벌 보안 전략 제시
안랩, 사우디 정부 주최 사이버 보안 포럼 ‘GCF 2025’ 참가해 글로벌 보안 전략 제시
-1~2일(현지 시각),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국제 사이버 보안 포럼 ‘GCF 2025’에 3년 연속 참가
-안철수 창업자 및 강석균 대표, ▲개막 행사 ▲Center for Cyber Economics 세션 ▲SITE 주관 Cyber CxO Meeting(주요 기업인 회의) 등 다양한 일정에 참가해 국가·산업·기술 전반의 글로벌 보안 과제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
-안랩, 지난해 SITE와 합작법인 ‘라킨(Rakeen)’ 설립 이후, 올해 하반기부터는 Rakeen을 통해 NGFW, IPS, XDR 제품 판매를 본격화하며 중동 지역에서의 보안 생태계 확장과 경쟁력 강화를 이어갈 계획
안랩(대표 강석균, www.ahnlab.com )이 10.1~2(현지 시각)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개최된 국제 사이버 보안 포럼 ‘Global Cybersecurity Forum Annual Meeting 2025 (이하 GCF 2025, 보충자료 참조)’에 3년 연속 참가해, 국가·산업·기술 전반의 글로벌 보안 과제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시했다.
GCF는 주요 사이버 보안 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글로벌 포럼으로,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의 후원 하에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사이버보안부(National Cybersecurity Authority)가 주최한다. 안랩은 2023년, 2024년에는 국내 보안 기업 중 유일하게 초청을 받아 강석균 대표가 참여했으며, 올해는 안철수 창업자와 강석균 대표가 함께 초청되며 3년 연속으로 포럼에 자리했다.
“사이버 공간에서의 통합적 발전의 확장(Scaling Cohesive Advancement in Cyberspace)”을 주제로 개최한 이번 포럼에서는 안철수 창업자 및 강석균 대표가 ▲개막 행사 ▲Center for Cyber Economics 세션 ▲SITE 주관 Cyber CxO Meeting(주요 기업인 회의) 등 다양한 일정에 참가해 경제 성장의 핵심으로서의 사이버 보안, 국가별 보안 현지화 및 AI 기반 사이버 위협 대응 전략 등 국가·산업·기술 전반의 글로벌 보안 과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눴다.
[안철수 창업자, 국가 경쟁력과 경제 성장의 핵심으로 사이버 보안 강조]
안철수 창업자는 행사 둘째 날(현지 시각 2일), 사이버 경제 센터(CCE)와 세계경제포럼(WEF)이 공동 주최한 Center for Cyber Economics 세션에 참가했다. ‘Macroeconomic Impact of Cybersecurity: Driving Collective Preparedness(사이버 보안의 거시경제적 영향: 집단적 대비를 이끄는 힘)’을 주제로한 이번 세션에서 안철수 창업자는 사이버 보안이 국가 경쟁력과 경제 성장의 핵심 인프라임을 강조했다.
*Center for Cyber Economics(CCE, 사이버경제센터): GCF와 세계경제포럼(WEF)가 공동 설립한, 사이버 보안의 경제·산업적 영향을 연구하고 대응 전략을 제시하는 국제 연구기관
안철수 창업자는 “사이버 공격은 더 이상 기술적 사건이 아니라 국가 경제와 글로벌 교역, 투자 신뢰를 흔드는 거시적 위험”이라며, “사이버 보안 투자는 피해를 막는 비용이 아니라 새로운 가치와 성장을 창출하는 전략적 투자”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금융·헬스케어·제조·공급망 등 디지털 의존도가 높은 분야를 주요 취약 섹터로 지목하며, 공공·민간 협력과 국제적 위협 인텔리전스 공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AI 기반 위협, 중요 인프라 공격, 지정학적 사이버 갈등을 거시경제적 파급효과를 지닌 3대 트렌드로 꼽으며, “사이버 보안은 단순한 보호가 아니라 성장과 혁신을 위한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강석균 대표, 국가별 보안 현지화 및 AI 기반 사이버 위협 대응 전략 제시]
강석균 대표는 포럼 첫째 날(현지 시각 1일) SITE가 주관하는 제3회 주요 기업인 미팅(3rd Edition of the Cyber CxO Meeting chaired by the Saudi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SITE))에 참가해 글로벌 사이버보안 리더들과 국가별 보안 현지화 및 AI 기반 사이버 위협 대응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눴다.
강 대표는 먼저, 국가별 보안 현지화 전략에 대해 “각국에서 데이터 현지화와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보안 기업은 현지 요건을 충족하는 동시에 글로벌 수준의 신뢰와 서비스 품질을 유지해야 한다”며, “이 두 가지를 균형 있게 달성하는 것이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보안 생태계를 구축하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AI 위협에 대한 논의에서 강 대표는 “AI는 혁신의 도구인 동시에 공격자의 무기가 되고 있는 가운데, AI 기반 보안 전략은 선제적·적응적·지속적으로 진화해야 한다”며 “안랩은 이를 구현하기 위해 자체 구축 에이전틱 AI 보안 플랫폼 ‘AhnLab AI PLUS(안랩 AI 플러스)’로 탐지·분석·대응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보다 지능적이고 능동적인 보안을 지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안랩은 지난해 SITE와의 합작법인 ‘라킨(Rakeen)’ 설립 이후 현지 인프라 구축과 제품 현지화 개발을 추진해 왔으며, 올해 하반기부터는 Rakeen을 통해 NGFW, IPS, XDR 제품 판매를 본격화하고 있다. 향후에는 공급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AI 및 OT 보안 분야로 협력 범위를 넓혀 중동 지역에서의 보안 생태계 확장과 경쟁력 강화를 이어갈 계획이다.
[보충자료] Global Cybersecurity Forum Annual Meeting 2025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의 후원 하에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사이버보안부(National Cybersecurity Authority)이 주최하는 GCF는 주요 사이버 보안 문제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글로벌 포럼이다. 포럼에는 정부 관계자, 기업, 주요 학계 인사 등 세계 각국의 글로벌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이 참여해 글로벌 사이버 보안에 대한 산업 발전 방향 및 국제 협력 기반 구축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한다. 2020년 2월 사우디아라비아의 G20 의장국 활동의 일환으로 출범해 5회차를 맞은 올해 행사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통합적 발전의 확장(Scaling Cohesive Advancement in Cyberspace)”를 주제로 개최됐다.
올해 행사에는 ▲콜린다 그라바르 키타로비치 前 크로아티아 대통령(2015~2020) ▲크리스 잉글리스 前 미국 국가 사이버 국장(2021~2023) ▲로버트 해니건 前 영국 GCHQ 국장(2014~2017) ▲조제 마누엘 바로주 前 유럽연합 집행위원장(2004~2014) 겸 포르투갈 총리(2002~2004) ▲도린 보그단-마틴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사무총장 ▲장폴 팔로메로스 前 나토 연합군 최고사령관 ▲로빈 가이스 유엔 군축연구소(UNIDIR) 소장 ▲오진영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본부장 ▲이오안니스 파블로스글루 그리스 국가사이버보안국(NCSA) 부지사 ▲라요시 사보 헝가리 국가사이버보안센터(NCSC) 국장 등 각국 정부·국제기구·산업계를 대표하는 글로벌 리더들이 연사로 참여했다.